Abstract
[연구목적] 창업활동을 평가하는 각종 지표들에서 한국의 창업활동 지수들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한국의 청년 창업활동은 전반적으로 활발하지 못하다. 한국 정부와 대학들은 청년창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대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청년창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의 다양한 대학창업지원정책은 양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낮은 수준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한국의 대학창업생태계가 선진국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대학창업생태계를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미국 사례의 시사점과 한국 기업가들이 강조하는 창업교육 제안사항에 기초하여 한국의 대학창업생태계 방향을 위한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BR>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학창업생태계의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여 미국과 한국의 대학창업생태계를 분석한 후 효과적인 한국 대학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사례를 제시하였다.<BR> [연구결과] 미국 대학창업생태계는 창업 친화적 대학환경, 효과적인 외부자원 활용, 기업가정신이 높은 대학생, 시장 친화적인 지원조직과 투자자 등이 매우 활발하게 작동하고 있다. 반면 한국 대학창업생태계는 양적으로는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창업생태계의 질적 측면에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BR> [연구의 시사점] 대학은 효과적인 대학창업생태계를 위해 대학 창업정책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여 이것을 실행하기 위한 교육, 학사제도, 지원조직 등을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대학창업생태계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을 대학창업생태계 모든 과정에 참여시켜서 교육부터 투자까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