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초등수학교육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8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초등수학교육 관련 연구 596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수학내용영역, 교과역량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측면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 및 능력,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수업 및 지도방안과 관련한 연구가 비중 있게 다뤄졌고, 평가, 교육공학 및 교구 관련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었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학생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수학내용영역 측면에서는 수와 연산 관련 연구가 월등히 많았고 교과역량 측면에서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으나 문제 해결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행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는 연구 분야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terms of topics, methods, subjects, mathematics content strands, and mathematical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96 papers published in eight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seven yea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pular research topics included learners' perspectives and abilities, analysi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instruction and teaching methods, whereas studies on assessment and technology or manipulative materials did not get much atten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a lot with focus on students. The mathematics content strand which was most frequently studied was number and operations, and problem solving was most popular among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include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