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표는 수학적 이해를 돕는 표현의 하나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제시되지만, 표에 초점을 맞추어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를 이해하는데 표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본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는 함수적 사고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함수표 이해가 어느 정도인지를 표 만들기, 관계 서술하기, 관계식 표현하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약 75%의 학생들이 평균적으로 표 만들기를 할 수 있었는데 이 때 제시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가로형의 표를 창안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서술형에 비하여 기하패턴 문항을 해결하는데 학생들이 어려움을 드러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함수표'로서 표를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lthough the table, as one of the representations for helping mathematics understanding, steadily has been shown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there have been little studies that focus on the table and analyze how the table may be used in understanding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5th graders' abilities to design function t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75% of the students were able to create tables for themselves, which shaped horizontal and included information only from the problem contexts. And the students had more difficulties in solving geometric growing pattern problems than story problems. Building on these results,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of instructional directions of how to use the table as 'function tabl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