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국내 외 공간 빅데이터 관련 추진체계 및 정책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래 공간정보 융 복합 대응정책 미흡, 개인정보 보호 및 서비스 활성화 제도적 기반 미흡, 관련 기술 정책 마련 미흡, 공간 빅데이터 구축 활용을 위한 추진체계 미흡, 공공정보의 품질저하와 공유체계 미흡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책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공간 빅데이터 추진체계 마련, 관련 법 제도 개선, 공간 빅데이터 관련 기술 개발, 공간 빅데이터 지원 사업 추진, 공공DB 융 복합 공유체계 마련 총 5가지의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improvement plan of political for activating the Geo-Spatial Big Data Services. To this end, we were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for Geo-Spatial Big Data and analysis domestic and foreign Geo-Spatial Big Data propulsion system and policy enforcement situation. As a result, we have deduced the problem of insufficient policy of reaction for future Geo-Spatial Big Dat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political basis service activation, relevant technology and policy, system for Geo-Spatial Big Data application and establishment, low leveled open government data and sharing system. In succession, we set up a policy direction for solving derived problems and deducted 5 policy issues : setting up a Geo-Spatial Big Data system, improving relevant legal system, developing technic related to Geo-Spatial Big Data, promoting business supporting Geo-Spatial Big Data, creating a convergence sharing system about public DB.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