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측량용 카메라의 경우에는 내부표정을 위해 사진지표 뿐만 아니라 렌즈에 관련된 다양한 매개변수들이 제작사의 정밀 검정을 통해 제공된다. 반면에 비측량용 카메라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다수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 검정을 통해 내부표정요소를 구하여야 한다. 측량용 카메라는 한번 검정된 내부표정 결과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에 반하여, 비측량용 카메라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장기간에 따른 내부표정요소의 안정성이 충분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비측량용 카메라의 경우 사전측량작업을 할 때마다 내부표정요소를 구하기 위한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다량의 기준점을 이용해야 하므로 매우번거로운 작업이며, 비측량용 카메라의 활용에 장애가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 6개월간에 걸쳐 25회의 카메라 검정과 관측을 주기적으로 실험하여 내부표정요소를 구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비측량용 카메라의 내부표정요소가 장기간 동안 어느 정도 안정한지를 검토하였다. In case of metric cameras, not only fiducial marks but also various parameters related to camera lens are provided to users for the interior orientation process. The parameters have been acquired through precise camera calibration in laboratory by camera maker. But, in case of non-metric cameras,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should be determined in person by users through camera calibration with great number of control points.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of metric cameras are practically used for long time. But in case of non-metric cameras,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have not been established. Generally,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of non-metric cameras are determined in every photogrammetric work. It's been an obstacle to use the non-metric camera in photogrammetric project because so many control points are required to get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In this study, camera calibrations and photogrammetric observations using a non-metric camera have been implemented 25 times periodically for 6 months and the results have been analyzed. As a result, long-them stability of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of a non-metric camera is analyz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