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소셜커머스는 소셜미디어와 쇼핑의 결합이다. 웹 2.0 기술에 기반을 둔 소셜커머스는 다양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잠재력을 통해 소비자를 유인하고 있다. 한국의 대학생들은 소셜미디어 사용에 매우 적극적인데, 소셜커머스 사용에 있어서도 매우 적극적 소비자로 추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이 소셜커머스를 이용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구전효과(Word-of-Mouth)과 인지적 즐거움(Percieved Enjoyment)으로 확장한 기술수용모형을 검정했다. 연구결과, 구전효과는 인지적 즐거움을 매개하여 소셜커머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인지적 즐거움은 기술수용모형의 모든 구성개념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구전효과와 인지적 즐거움으로 확장한 기술수용모형은 한국의 소셜커머스 맥락에서 유효함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함의와 제안을 제시했다. Social commerce is a combination of social media and shopping. Social commerce, based on Web 2.0 technologies, has the various potentials, which is the factor attracting customers. In Korea, collegians are more active user of social media, in turn, are estimated more active customer in social commerce context. Present research explored what made Korean collegians use social commerce with extend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with word-of-mouth(WOM) and perceived enjoyment(PE). We found that WOM affected indirectly the intention to use(ITU) with mediating PE, in turn, P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ll of constructs in TAM. Accordingly, TAM extended with WOM and PE is validated in social commerce context.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Published Version (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