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개인의 시간과 사회적·역사적 사건과의 상호작용에 주목한 생애과정 관점(life course perspective)을 기초로 북한 신세대의 노동의식을 분석한다. 특히 본 논문은 1990년대 경제위기에 영·유아기를 거쳐 이른 노동경험을 한 북한 신세대의 역사적 위치를 파악하고, 그들이 아동기 및 청년기로의 이행과정에서 표출한 노동의식을 탐색한다. 분석을 위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신세대는 어린 시절부터 생계유지 수단으로 노동을 선택하면서 경제 가치를 인식하고 이득을 창출하기 위해 경제적 공간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북한 신세대는 집단노동 이탈, 자발적 구직 활동 등 새로운 일자리 여건이나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셋째, 북한 신세대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원리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가 빠른 양상을 보인다. 다만, 본 연구는 소수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 신세대 노동의식을 해석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활용하고 있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은 개개인의 경험이 사회나 집단의 경험을 내재화화여 투영된다는 가정에 기반을 둔 접근방법인 바,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제한적이나마 북한 신세대 노동의식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