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마늘 효소분해물과 포도과피, 감 및 아선약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물이 고지방 식이를 급이한 흰쥐의 혈청 및 간 조직 내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늘 효소분해물과 포도과피, 감 및 아선약 추출물을 9.5:0.5, 9:1, 8:2(w/w)의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을 제조하여 in vitro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8:2(w/w)로 혼합한 아선약 복합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8:2(w/w)의 비율로 조정된 마늘 효소분해 복합물을 2.5 g/kg/day의 농도로 5주간 흰쥐에게 경구 투여한 결과, 총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아선약 복합물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중성지방 함량은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54.29 mg/dl로 가장 낮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 및 아선약 복합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천연색소 복합물 투여군에 비해 마늘 효소분해물을 투여한 군에서 더 낮았으며, V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가장 낮았다. GOT, GPT 및 ALP 활성은 천연색소 복할물 중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간 조직 중 총 지질,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감 및 아선약 복합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항산화 활성은 혈청에서는 아선약 복합물 투여군에서 50.86%로 가장 높았고, 간 조직에서는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청 및 간 조직의 TBARS 함량은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각각 18.24 mmol/dl 및 60.72 mmol/dl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고지방 식이성 흰쥐에서 마늘 효소분해물에 감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물의 급이는 체내 지질 함량을 낮추고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고지혈증 및 항비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e treated garlic (EG) and its natural resources composites on lipid levels in serum and liver of rats fed a high fat diet. Four different types of EG-composite extracts prepared: EG and EG + grape peel (EGG), EG + Persimmon (EGP) and EG + Catechu (EGC) by mixed 9.5:0.5, 9:1 and 8:2 (w/w) ratios, respectivel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show the highest in EG + Catechu (EGC) composite by mixed 8:2 (w/w). EG and EG-composites extracts (8:2, w/w) were administered orally to SD-male rats at a concentration of 2.5 g/kg/day for 5 weeks. Total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GC group than control group, and triglyceride content was the lowest in EGP group by 54.29 mg/dL. HDL-cholester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GP and EGC groups. LDL-cholesterol content was lower in EG group than EG-composite groups, and VLDL cholesterol content was the lowest in EGP group. GOT, GPT and ALP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EGP group. Total lipi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in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GP and EGC group than control group. Antioxidant activity in serum was the highest in EGC groups by 50.86%, in liver was the highest in EGP groups. TBARS content in serum and liver was the lowest in EGP group. I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EGP composites could have hypo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in rats fed a high fat die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