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저하요인을 성별, 한국어 학습 기간,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차이를 분석했다. 총 9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이 중 유의미한 83명의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문항은 Dörnyei(1994, 1998)에서 제시한 9가지 학습동기저하요인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이 중 ‘제2언어학습에 대한 다른 외국어 학습의 방해’ 요인을 제외한 (1) 교수자의 부정적 영향, (2) 부적절한 학습 환경, (3) 학습자의 자신감 결여, (4) 목표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 (5) 외국어 학습의 강제성, (6) 한국어 사용집단에 대한 부정적 태도, (7) 한국어 학습 집단에 대한 부정적 태도, (8) 학습 교재의 부적합성을 기본으로 문항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 기간과 한국어 숙달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습 기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기간과 상관없이 학습자의 ‘자신감 결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차이에서는 고급학습자들에게서 ‘한국어 학습교재의 부적합성’으로 인한 학습동기저하가 높게 나타났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