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PCK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예비교사들이 사용 하는 ‘한국어교육개론’ 교재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7년에 개발된 6종 교재를 선정하였는데, 이들 교재 중에는 전공 교재, 교사양성 과정 교재의 위상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교과 내용이 혼재되어 있는 양상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6종 교재의 PCK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재는 ‘교과 내용’과 ‘교수 방법’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었다. 즉 ‘한국어교육 내용지식’과 ‘수 업실행 및 방법에 대한 지식’은 잘 제시되어 있었으며, ‘상황적 지식(학습자, 교사, 교수 환경)’과 ‘학습 평가 지식’에 대한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든 교재에서 학습자 요인을 비중있게 다루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보완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PCK 측면에서 ’한국어교육개론‘ 교재 내용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개선 방향도 제시해 보았다.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n introdu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are used b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us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s the criteria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ix textbooks published from 2009 to 2017, most of them put more focus on subject matter and teaching methods. In other words, subject matter knowledg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nowledge on teaching practices and methods were well explained, whereas situational knowledge (learner, teacher, teaching environment) and knowledge on learning evaluation lacked in them. Among others, the learner factor was dealt with insignificantly in all of the textbooks, which was the problem to be supplemented most urgently. Besides, they were found to be in need of evaluation on learning checks for each unit as well as that for each domain/function. Reflecting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supplement, from a PCK point of view,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n introdu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