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인식서비는 위치기반서비스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분류되며, 스마트폰의 GPS 및 전자나침반 기술의 정확도에 따라 상황인식서비스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황인식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는 GPS, 전자나침반(Digital Compass), 무선통신, 공간정보(Geospatial Web)를 활용함에 있어서의 위치적 정확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및 방향 결정 정확도 실험 결과 실외에 비하여 낮은 실내 위치 및 방향 정확도와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공간정보가 갖고 있는 오차에 의해 상황인식서비스 이용 시 정확한 정보를 제공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위치 결정 정확도 향상 방안으로 Wi-Fi를 이용한 측위 방법 등이 있으나 실외에서 사용하는 GPS에 비해 많은 보완 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인식서비스의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공간정보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DSM을 이용해 폐색영역을 보정한 실감 정사영상의 제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Situation awareness services which increasingly expand their influence in everyday life can be classified into location-based service and social network service. Their quality of service (QoS) can be differed based on the location accuracy of smart phones and accuracy of directional recognition techn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GPS, digital compass, radio communication, and geospatial web information which can provide a clue in using the situation aware services based on lab experiments and surveys. According to the result of lab experiment on accuracy of determining location / direction with smart phones, owing to inherent lack of indoor accuracy in determining position and direction, as well as errors in spatial data used as platform, it was found that devices were not provided with sufficiently accurate data when using the situation aware services indoors compared to outdoors. To enhance accuracy of determining indoor positions, there are several methods including location metering based on Wi-Fi, which had several problems compared with GPS used in outdoor environment. Thus, it was determined that more study would be necessary to solve these issu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