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정부는 창원의 국가산업단지를 스마트산단으로 선정하고 스마트팩토리의 보급 확산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확대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단지 내 중소공장들은 비용 증가, 구축 방법에 대한 몰이해, 기술신뢰도 미흡, 사용상의 불편 등의 이유로 새로운 시스템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그중 사용의 불편함은 이 서비스의 도입이 지연되는 큰 이유이다. 필수적인 시스템의 모바일화도 지연되고 있고,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구조적인 연구도 빈약하다.BR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제조공장이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도입할 때의 불안감과 기술 수준에 대한 낮은 신뢰도 그리고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플랫폼의 모바일 버전을 위한 맞춤형 인터페이스의 구조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사용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스마트팩토리와 제조 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방안을 조사하였다. 스마트 산단에 대해 정의한 후 현장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창원 국가산업단지 내 중소 제조공장의 장비 관리 현황을 관찰하였고, 공장 근로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유형화하고 퍼소나를 설정하였다.BR 전문가 인터뷰에서 제조 데이터는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를 선별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플랫폼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 가능한 데이터로만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는 답을 얻었다. 사용자 분석을 통해서는 근로자의 업무에 따라 제조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대한 견해가 다르다는 인사이트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외부에서 접근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경우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권한별로 획득 가능한 정보가 달라야 하고, 인터페이스 또한 사용자 유형에 따라 각각 맞춤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BR 본 연구는 제조 데이터 분석 플랫폼과 그 사용자와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초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사용성을 높여, 장비의 상시 관리와 생산품의 품질관리에 기여하여 창원 국가산업단지가 스마트산단으로 거듭나 단지 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