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子家禮』에 의거한 유교적 상장례는 매우 위계적인 동시에 차별적이었다. 男尊女卑·尊高卑低라는 원칙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 원칙에 따라 父親喪이 가장 무겁고, 母親喪이 그 다음이며, 婦人喪이 가장 가벼웠다. 『가례』를 준수했던 18~19세기 경상도 사족 가문에서 부인의 지위는 매우 낮았다. 부인상을 당할 경우, 남편은 4일 동안만 애도했고, 장례식을 끝으로 居喪 기간이 종료되었다. 여기에서 유교적 상장례는 한국 전통사회의 친족제도인 率壻婚[혹은 壻留婦家婚]과 강하게 충돌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한국의 전통적 친족구조는 17세기 이후 동요하기 시작했다. 그 기저에 『가례』가 있었다. 『가례』는 남성과 여성을 위계적으로, 그리고 차별적으로 배치시키는 것을 강제하는 이론서이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가례』가 엄격하게 준행되면 될수록 부계(혹은 남성)의 위상이 높아졌고, 모계(혹은 여성)의 그것은 추락했다. 『가례』 준행 의지의 확산, 남성과 여성 지위의 역전과 간극의 심화, 인구 증가에 따른 공간 배치 압력의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한국사회는 18세기 전·중반 이래 男系親 중심의 宗族社會로 급속하게 전환하기에 이르렀다.Funeral rites of the Choŏon dynasty, based on Chu Hsi’s Book of Family Ritual, were hierarchical and discriminator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predominance of men over woman and more respect for ancestors than descendants. Under the principle, the father’s funeral was of the greatest importance, followed by the mother’s, and the least importance was given to that of one’s wife. The status of wife in the families of Confucian literati remained marginal. In the case of the wife’s funeral, the husband mourned only for four days, with the mourning period lasting only until the end of the funeral service. Thus, the Confucian funeral ritual ran directly counter to the traditional kinship system based on matrilocal residence. As is widely known, the traditional kinship system of Korea started to be dismantled in the 17th century. This collapse was ascribed to the Family Ritual of Chu Hsi, which arranges men and women in a hierarchical and discriminatory order. Accordingly, as the Ritual was more strictly observed, men (as well as patrilineal lineage) came to have higher status than women (matrilineal lineage). Amid the stronger will to observe the Ritual, men’s dominance over women and their widening gap in status, and the growing demand for more living space under population pressure, Korean society witnessed a rapid transition to a patrilineal lineage-dominant kinship system in the early and mid-18th century.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