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국과 미국의 무역마찰 증대와 무역촉진 현황을 양국의 무역 관계, 규모, 구조에 대한 생산 분업의 영향을 고려하여 중국 상품의 미국 수출경쟁력을 표준국제무역분류기준(SITC)에 따른 가치사슬 관점과 개선된 지수를 바탕으로 재검증하고자 하였다. Section 8에서는 중국이 미국에 비해 수출가치, 수출강도, 수출단가, 무역 보완성 측면에서 현저한 이점을 지니고 있어서 대미 수출경쟁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미 무역적자로 분석된 Section 5와 대미 무역흑자로 파악된 Section 6 모두 중국의 대미 수출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Section 7에서는 미국에 대한 수출 단가는 높지만 수출 강도가 다소 낮아 중국이 기술집약적 제품에서 미국에 대한 수출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의 대미 경쟁력을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일본, 인도, 러시아, 말레이시아, 태국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중국은 비교 대상 국가들에 대한 수출경쟁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본에 대한 자본 및 기술집약산업에서 수출경쟁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경제규모, 1인당 소득, 기술연구개발 및 제도의 4가지 격차, 상호직접투자 요인을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중력모형을 이용한 패널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중국 경제의 점진적 성장은 수출경쟁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다른 나라의 직접투자를 흡수함으로써 중국이 기술적 어려움과 대외무역의 지속적인 마찰이 초래하게 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외직접투자와 자체적인 제도의 개선은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대외투자 규모, 주최국 수요 능력, 제도 보완에 국한되어 있어서 장기적으로 중국 상품의 수출경쟁력을 단기간에 개선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중국이 국내외의 관점에서 지속 가능한 상품 수출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This study aims to re-verify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Chinese goods to the U.S. based on the value chain perspective and improved index according to the SITC,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division of production on the trade relations, size and structure of the two countries after the 2008 financial crisis. In Section 8, China has a remarkable advantage in terms of export value, export intensity, export unit price, and trade complementarity compared to the US, which shows that it has export competitiveness to the US. In section 5 and section 6, China s export unit price to U.S. is relatively high, with the former’s trade deficit and the latter’s trade surplus to U.S. In section 7, the export unit price to U.S. is higher, but the export intensity is somewhat lower, which indicates China has relatively weak export competitiveness to U.S. in high technology intensive products. In order to further verify China s competitiveness in the US, Japan, India, Russia, Malaysia and Thailand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subjects and analyzed. As a result, China s export competitiveness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for the comparable countries, especially in the capital and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for Japan. Based on this, China s economic scale, per capita income,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ional gap, and mutual direct investment factors were set as variables and panel empirical analysis using gravity model was conduc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gradual growth of the Chinese economy did not effectively improve its export competitiveness, and it was found that by absorbing direct investment from other countries in the past, China had caused technical difficulties and continued friction in foreign trade. While the improveme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ts own institutional system played a positive role,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improv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Chinese goods in a short period of time because it was limited to the scale of foreign investment, host countries’ demand capacity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Finally, we discussed ways for China to enhance its competitiveness in exporting sustainable goods from both domestic and foreign perspectives.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