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85개 영재학급, 70개 교육청 영재교육원, 20개 대학 영재교육원을 합한 총 375개 영재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캠프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설문은 캠프 설계, 캠프 실행, 캠프 결과로 구성하였으며, 캠프 실행은 캠프 교육내용, 교수 학습과정, 산출물, 학습환경으로 세분화 하였다. 캠프 설계에 대한 분석 결과 연구소, 과학관 등의 방문 중심캠프가 가장 많았고, 여름방학에 1박 2일 이하로 실시되는 기관이 가장 많았다. 캠프 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리커르트 5점 척도에서 3.72점을 보였으며, 교수 학습과정은 3.78점, 산출물은 3.77점, 학습환경은 3.58점을 보여 캠프 학습환경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캠프 학습환경은 개방성여부, 다양한 시설의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프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다양한 활동 사례 정보의 부족'이 캠프 운영의 가장 어려운 점으로 파악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캠프에서 개방적이고 다양한 환경 및 시설의 활용이 가능한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노력과, 캠프 활동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using a questionnaire about camp programs, we surveyed 375 gifted education institutes, including 285 classes for the gifted, 70 institutes for the gifted at education offices, and 20 institutes for the gifted at universities.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s relating to camp design, camp operation, and camp introspection. The questions relating to camp operation are subdivided into questions relating to content, process, product, and learning environment of the camp. In the analysis of camp design, experience-centered camps entailing visits to research institutes, science museums, and so on showed the highest ratio. The camps were generally carried out in summer vacation as two day/one night programs. The average score of camp content was 3.72, that of camp process was 3.78, that of camp product was 3.77, and that of camp environment was 3.58. In the analysis of camp introspection, the item 'a lack of information about diverse camp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difficult thing. Integrating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nformation about diverse camp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and the camp environment strengthen the freedom of students to select camp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