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면서 친환경적으로 폐기물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폐기물을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로 제조 및 활용하는 시설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에서 가장 최근에 발표한 2014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한편, SRF 제조 활용 시설 부문이 산업연관표에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시도하여 SRF 제조 활용 시설 부문을 중심에 두고 외생화를 하였다. 분석결과,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를 위한 1원 투자의 생산유발효과는 1.9993원이었으며,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6747원이었다. 아울러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를 위한 10억원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11.1982명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략적인 정보는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government is trying to expanding the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solid refuse fuel (SRF) facilities in order to mitigate greenhouse gases reducing and eco-friendly waste-to-energy recovery.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look into the economic effects of expanding the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SRF facilities by apply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using a 2014 input-output table. Specifically, by applying the demand-driven model presents the results for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redefine for the SRF. In addition, it was accessed by exogenous around the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SRF sector. The results show that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expanding the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SRF facilities for the investment of 1.0 won are estimated to be 1.9993 and 0.6747, respectively. The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one billion of investment in the expanding the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SRF facilities is computed to be 11.1982 persons. This information can be utilized in predicting the economic effects of the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S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