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사료작물 피에 대해 톱밥 발효돈분의 비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5월부터 10월까지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사료작물 포장에서 시험이 수행되었다. 실험은 난괴법 6처리 3반복으로써 처리 1: 화학비료 정량<TEX>$(N\;200kg/ha+P_2O_5\;300kg/ha+K_2O\;200kg/ha)$</TEX>, 처리 2: 화학비료 정량의 <TEX>$1/2(N\;100kg/ha+P_2O_5\;150kg/ha+K_2O\;100kg/ha)$</TEX>+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1/2 (N 100kg/ha), 처리 3: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1/2(N 100kg/ha), 처리 4: 톱밥 발효돈분 정량(N 200kg/ha), 처리 5: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2배(N 400kg/ha), 처리 6: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4배(N 800kg/ha)로 설계하였다. 동일한 질소 200kg/ha 시용수준에서 화학비료 <TEX>$100\%$</TEX> 시용구(T71)가 톱밥 돈분과 화학비료 혼합(T2)이나 톱밥 발효돈분 <TEX>$100\%$</TEX> 시용구(T4) 보다 통계적으로 낮은 건물수량을 얻었다. (p<0.01). 톱밥 발효돈분을 질소수준으로 100, 200, 400 및 800kg/ha 시용수준에서 피의 건물 수량은 각각 7,707, 8,259, 8,713 및 6,842 kg/ha이었고 질소 400kg/ha까지 시용량 증가로 건물수량이 증가하나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피의 P. K 및 Ca 함량은 톱밥 발효돈분의 시용량 증가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동일한 질소 200kg/ha 수준에서 피의 P와 K 함량은 톱밥 발효 돈분구 보다 화학비료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토양의 pH, 유효인산, 치환성 K, Ca 및 Mg 함량은 톱밥 발효돈분의 시용량 증가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으며(P<0.05) 같은 질소 200kg/ha 수준에서 화학비료구 보다 톱밥 발효 돈분 시용구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얻지 못했다. 1998년 6월에 토양 미생물 중 박테리아 수는 톱밥 발효돈분 시용량 증가로 증가했으나(P<0.05), 10윈 조사시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10원에 박테리아 대사상균 비율은 톱밥 발효돈분의 시용량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추세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척박토양에서 피 재배시 톱밥 발효돈분 100kg/ha와 화학비료 100kg/ha 혼합하거나 톱밥발효돈분만 N 400kg/ha 까지가 적정 수준이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October 1998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rmented sawdust swine manure application (SSM) on the herbage production of Japanese millet and soil properties in the Cheju brown volcanic ash soil. The randomized block design (T1 : basic chemical fertilizer, N 200 kg/ha + <TEX>$P_2O_5\;300 kg/ha+K_2O$</TEX> 200kg/ha ; T2 : 1/2 basic chemical fertilizer, N <TEX>$100+P_2O_5\;150+K_2O$</TEX> 100kg/ha; T3 : 1/2 basic SSM, N 100kg/ha, T4:basic SSM, N 200kg/ha; T5:2 times basic SSM, N 400 kg/ha ; T6:4 times basic SSM, N 800 kg/ha) was used. At the same application level of nitrogen 200kg/ha, the application of <TEX>$100\%$</TEX> chemical fertilizer (T1) had significantly lower dry matter yield than that of <TEX>$50\%$</TEX> chemical fertilizer and <TEX>$50\%$</TEX> SSM (T2) or <TEX>$100\%$</TEX> SSM (T4)(p<0.01). Dry matter yield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SSM application to N 400kg/ha level but decreased at N 800 kg/ha level. P, K and Ca contents of Japanese millet tended towards to decrease with an increase of SSM level. The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lowered P and K content of Japanese millet in comparison with that of SSM (p<0.05). pH,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potassium, Ca and Mg content of soil studie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ith an increase of SSM application level (p<0.05). However, at the same application level of N 200kg/ha,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emical fertilizer and SSM in those contents of soil after experiment. The bacterial number of soil among microbial popula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SSM level, in June, 1998 (p<0.05), but there was no regular tendency, in October. The rate of bacteria to fungus in soil ha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an increase of SSM level. In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o use N 400kg/ha of SSM or N 100 kg/ha of chemical fertilizer+N 100 kg/ha of SSM for Japanese millet.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