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배경값 보정 및 크기보정을 포함하여 오차요인을 크게 줄이고, WILDFIRE(C)를 통해 최적화된 이론값과 실측값의 일치정도 (R%, (<TEX>${\sum}$</TEX>|이론값-측정값|/이론값)/<TEX>$n{\times}100$</TEX>)를 정량값으로 제시하고, 그 값을 최소화하는 반복과정을 통해 일라이트 폴리타입 함량을 정량하는 개선된 full-pattern-fitting법을 제안하여 일정 함량을 갖는 혼합시료를 대상으로 검증하고, 기존의 Grathoff and Moore법과 비교하였다. 개선된 full-pattern-fitting법은 대상시료 내 불순물로 인한 각 폴리타입 함량오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full-pattern-fitting법 보다 개선된 최대 3.6%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Grathoff and Moore법과의 비교에서 대상시료 모두에서 Grathoff and Moore법 적용결과는 <TEX>$2M_1$</TEX> 폴리타입의 상대함량이 고평가되어 나타났으며, 이용한 피크별 매우 큰 정량값 차이를 보이는 반면, 본 연구의 개선된 full-pattern-fitting법 적용 결과는 10% 이내의 낮은 R% 값을 갖는 폴리타입 상대함량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신뢰도의 정량결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We proposed the revised full-pattern-fitting method of illite polytype quantification with background correction and scale factor correction of WILDFIRE(C) simulated pattern, and R% value ((<TEX>${\sum}$</TEX>|simulated-measured|/simulated)/ <TEX>$n{\times}100$</TEX>) calculation, and then verified the reliability of this method by applying for the test sample (<TEX>$2M_1$</TEX>:1M<TEX>$$\frac{._-}{.}$$</TEX>1:1), and by comparing the result with Grathoff and Moore method (1996).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ed the error range of less than 3.6%, which is much lower than the previous full-pattern-fitting methods, in spite of the impurities of the test sample. In the comparison with Grathoff and Moore method for 2 tested samples, we obtained the relatively higher <TEX>$2M_1$</TEX> contents using Grathoff and Moore method, whereas we obtained the reliable results with less than 10% of R% values.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