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변화에 따라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이 유지되는가에 대해서 지금까지 서로 상반되는 입장이 있었다. 하나는 ‘상대적 비율 불변의 법칙’이라는 입장과 다른 하나는 ‘속도-특화 가설’로서 속도에 따라 상대적 비율이 달라진다는 입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 입장을 각각 대표하는 2개의 논문을 자세히 검토한 뒤, 개선점을 도출하여 연구하였다. 음 추출의 정확도를 확보한 Disklavier(ahepfaud: DC3X ENPRO)라는 새로운 방식의 피아노를 사용하여 타이밍을 추출하였으며, 빠르고 템포가 일정한 바로크 양식의 악곡과 템포가 유동적인 낭만주의 악곡을 비교 연구하였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이다. 그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템포가 일정하지만 빠른 바흐의 음악에서는 모든 속도 변화에서 음길이의 상대적 비율 간 일치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템포가 유동적인 쇼팽의 경우는 속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일치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속도가 변화하면 타이밍의 비율적 관계가 유지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모든 음악 혹은 모든 연주적 행동이 다 그렇다고 말할 수 없다. 이는 ‘상대적 비율 불변의 법칙’이 맞지 않다는 증거이다. 둘째, 속도가 느려지는가 아니면 빨라지는가에 따라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면서 비율이 변화한다. 속도가 빨라지면 타이밍 변화의 폭이 늘어나고 속도가 느려지면 타이밍 변화의 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템포-특화 가설’이 맞다는 증거이다. 셋째, 음악 특징적 측면에서 빠르고 스타카토가 많은 부분이 느리고 레가토가 많은 부분에 비해 시간적 비율관계가 잘 유지되기 힘들었다. 이는 인간이 인지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시간의 상대적 비율관계가 속도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잘 유지되는 반면, 인지적인 통제의 범위를 넘어서서 신체 움직임의 한계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부분에서는 상대적 비율관계가 잘 유지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시사점으로 이러한 류의 연구에서 원곡의 본래 속도와 연주기법적 특징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얻을 수 있었다. 속도변화에 따른 시간적 비율관계의 유지 여부의 문제는 다른 요소들보다도 행동의 콘트롤 여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Until now, there have been opposing positions as to whether the relative ratio of timing is maintained or changed according to tempo changes. One is the position in support of the law of ‘relational invariance’, and the other is the position advocating the ‘tempo-specific hypothesis’. In this study, two papers representing both positions were reviewed in detail, and improvement points were derived.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timing was extracted using a new acoustic piano called DISKLAVIER(DC3X ENPRO), which has secured the accuracy of sound extraction, and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 fast, constant-tempo baroque-style piece(Bach’s prelude no.3, BWV.848) and a fluid-tempo romantic piece (Chopin’s Nocturne, op.9 no.2).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Bach's music with a constant tempo but fast, the correlations between tempo-different versions were low in all speed changes, whereas in the case of Chopin, which had a flexible tempo, the correlations were quite high despite the speed change. Therefore,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of timing is maintained when speed changes, it cannot be said that all music or all performance actions are the same. This is proof that the “law of relative invariance” is not true. Second, the ratio changes with a certain tendency depending on whether the tempo is decreasing or increasing. As the tempo increased, the variety of the timing change increased, and when the speed decreased, the variety of the timing change decreased. This is proof for ‘tempo-specific hypothesis’. Third, in terms of musical characteristics, the temporal ratio relationship in the parts that were fast and had a lot of staccato dose not remained well, compared to the part that were slow and had a lot of legato. This is that, in the part that humans can control cognitively, the relative ratio of time is not affected by the change in speed and is maintained relatively well, whereas in the part where it is bound to be subordinated to the limits of body movement, it shows that the temporal proportion is difficult to maintain well. Therefore, the original tempo and performance technique of piece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This is because the question of whether to maintain the temporal ratio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tempo change is more related to the control of behavior than other factors.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