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단일대상연구설계를 활용한 또래활용 중재연구들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또래활용 중재가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 유아들을 위한 증거기반교수로서 활용 가능한 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발표된 국내학술지 논문 중 포함 및 배제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12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무선효과모형을 통하여 전체 평균효과크기(Tau-U)를 산출하였으며, Meta-ANOVA와 Meta-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하위그룹 및 조절변인들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또래활용 중재는 사회적 기술, 상호작용, 언어기술, 활동참여를 증진시키는 데에 중간-높은 수준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재유형들 중, 사회극놀이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나, 협동놀이와 게임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재환경의 경우, 놀이터에서 진행된 중재가 강한 효과를 보였으며, 교실과 치료실은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넷째, 유아의 연령, 성별, 중재의 시간과 횟수 변인들은 효과크기에 유의한 조절변인들로 작용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또래활용중재의 효과적인 적용 방향과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and research evidence on peer-mediated interventions based on a metal analytic approach as a way to evaluate whether those interventions can be established as evidenced-based and have the potential for classroom use. Among the peer-reviewed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hrough 2019, an extensive search process with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yielded a total of 12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studies to be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Effect sizes(ES) were calculated using a Tau-U formula and a random effect model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significant ESs. Meta-ANOVA and Meta-Regression were applied to calculate the ESs for sub-groups and mediator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peer-mediated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interactions, communication skills, and activity participation. Second, the social play was most frequently used as an intervention type, but the ESs were higher in collaborative play and games. Third, interventions provided in playgrounds showed the highest ES, and interventions delivered in classrooms and clinical rooms showed relatively low in ESs. Finally, variables such as age, gender, time, and session frequency didn’t impact on the significance of ES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