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인구구조 변화가 경상수지 및 순대외자산에 미치는 중장기적 영향을 실증분석 및 이론모형을 통해 살펴본다. 인구구조는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① 고출산율·고사망률 ② 고출산율·저사망률 ③ 저출산율·저사망률 3단계 전환기를 거치며, 진행 과정에서 인구 증가와 고령화가 발생한다. 한국은 기대수명 증가와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노년부양률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경상수지는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에 따른 상품수지와 배당금, 이자 등 내국인의 해외투자와 외국인의 국내투자의 차이인 소득수지의 합이며, 그중 상품수지는 국내저축과 투자의 차이로 나타낼 수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는 가계의 소비·저축 의사결정 및 기업의 투자, 자본 축적에 영향을 미친다. 고령화에 따른 노년부양률 증가는 경제의 소비 유인을 증가시키고, 저축을 감소시켜 경상수지 적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3장 국가패널 분석 및 4장 세대간 중첩(OLG) 모형 분석 결과, 한국은 현재 높은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의 상당 부분을 설명하며,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인구구조가 경상수지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UN의 2019년 세계인구전망을 사용하여 인구구조 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해본 결과, 2030년대 이후 경상수지가 적자로 반전될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개방경제의 이점을 활용하여 높은 경제성장률을 지속한 끝에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였다. 그러나 한국 원화는 국제적 호환성이 제한되어 있고 환율이 외환의 수급에 의하여 결정된다. 경상수지 적자가 지속될 경우 외환시장의 불안정성 및 금융위기의 배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수출 주도의 상품수지 흑자 중심 경상수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상수지 흑자는 미래 소비를 위한 해외 저축을 의미하며, 이는 순대외 자산 축적으로 귀결된다. 순대외자산은 배당, 이자 등의 소득수지로 경상수지흑자에 기여할 수 있다. 한국은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14년에 순대외자산국에 진입하였다. 급격한 인구구조의 변화를 감안할 때 경상수지 흑자와 순대외자산 축적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English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ong-term effects of demographic changes on current account and net foreign assets.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s, there are three stages of the demographic changes; (1) high birth rate and high mortality rate, (2) high birth rate and low mortality rate, and (3) low birth rate and low mortality rate. Population growth and aging occur in the process.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experienced the fastest demographic changes with increasing life expectancy and decreasing fertility rates in the world. The elderly support rate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Meanwhile, the current account balance is the sum of trade balance (net export), and income balance, defined as the income difference between the foreign investment of residents and the domestic investment of foreigners. Trade balance can be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domestic saving and investment. Demographic changes can affect consumption and saving decisions of households and investment of firms. For example, aging can increase the incentives for the consumption of the economy and reduce savings, which could potentially lead to current account defici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Chapter 3 and overlapping generations (OLG) model of Chapter 4, Korea accounts for a large part of the current account surplus with a current high proportion of the working-age population, and it is expected to become the current account deficit with an aging population. Using the 2019 World Population Prospects of UN to predict the impact of demographic changes on the current account, the current account surplus of Korea will turn into deficit after the 2030s. Korea has become an advanced country by taking advantage of the open economy that helps to sustain high growth. However, the Korean Won has limited international compatibility, and its value is mainly determined by the supply and demand for foreign exchange. Once the current account turns into deficit, it may act as a background for the instability of the foreign exchange market and the financial crisis. The current account surplus of Korea mainly comes from the export- driven trade surplus. The current account surplus can be interpreted as foreign savings for future consumption, which is ultimately accumulated in a net foreign asset position. Net foreign assets can contribute to the current account surplus with income balances such as dividends and interest. Korea has maintained its current account surplus since 1998 but has entered the net foreign assets surplus country in 2014. Given the rapid demographic chang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virtuous cycle of current account surplus and net foreign asset accu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