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UN의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가운데 여덟 번째 목표인 양질의 일자리의 관점에서 이주노동자의 산업안전보건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산업안전보건 관련 연구의 현황을 분석·성찰하고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와 관련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 구정보서비스(RISS)에 수록된 국내 학술지,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등 35편의 관련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연도별, 연구주제별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연구별 주요 주제어 빈도분석을 통해 주제어간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실시한 네트워크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분석 결과 이주노동자 산업안전보건 분야에 대한 국내연구는 ‘법/제도/정 책’, ‘안전보건실태/근로환경’, ‘의료/건강/보건’, ‘산업재해’ 관련 연구가 전체의 83% 를 차지하였고, 또한 전체의 60%에 해당하는 연구가 안전보건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별 주요 주제어의 전체 빈도분석에서는 ‘산업재해’, 안전보건교육’, ‘불법체류’ 순으로 높은 빈도수가 산출되었다. 상위 3개 키워드를 제외한네 가지 중심성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결정도 중심성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과 ‘의 사소통’이, 매개 중심성과 근접 중심성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이, 아이겐벡터 중심성 에서는 ‘의사소통’이 각각 가장 영향력 높은 노드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 분석에 근거하여 향후 이주노동자 및 고용사업주 대상의 효율적 산업안전보건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and policy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zed domestic research trends of previous studies. This is relating to the continuously increasing migrant worker 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rom the perspective of ‘decent work’; which is the 8th target of the United Nations’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irty-five research papers listed on the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were selected from KERIS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between 2000 and 2016, and a network analysis was executed to illuminate the correlation and frequency of key words among studies. A basic trend analysis indicated that 83% of domestic research topics were focused on “law/system/policy”, “OS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ndition/working environment” and “medical care/health/hygiene”, furthermore 60% of studies mention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OSH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whole frequenc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words were us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by this order: “industrial disaster”, “OSH education”, and “illegal stay.” In connection with the outcome of the four types of centrality analysis, it was evident that the most influential nodes for each analysis were as follows: “OSH act” and “communication” in degree centrality, as well as both betweenness and closeness centralities in relation to the “OSH act”, and “communication” in eigenvector centrality.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findings,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and smart learning was suggested for effective OSH education with a discussion on the methods to support substantive revitalization of OSH education for both migrant workers and their emplo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