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팽이버섯 재배 후 폐기물로 방치되어온 팽이 버섯 폐 배지를 거세한우 사육용 조사료로의 사료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면양 3두를 이용한 대사시험과 12개월령의 거세한우 24두를 이용하여 20개월령까지 8개월간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사시험의 경우 시판 한우 비육 전기용 배합사료(70%)와 볏짚(30%, 건물 기준)을 급여하였으며(대조구, CON) 시험구의 경우 발효 팽이버섯 폐 배지(fermented spent mushroom compost, FSMC)를 대조구 볏짚 급여량의 30% (FSMC-30) 또는 60% (FSMC-60, 건물 기준) 수준으로 대치하여 급여하였다. 거세한우를 대상으로 한 사양시험 사료 역시 대사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팽이버섯 폐 배지를 동일한 비율로 볏짚을 대치하여 급여하였다. 면양 반추위액의 pH는 발효팽이버섯 폐 배지가 포함된 시험사료(FSMC-30 및 FSMC-60)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추위액의 암모니아의 농도는 사료 급여 후 3시간에서 볏짚의 60%를 FSMC로 대치하여 급여한 처리구(FSMC-60)에서 암모니아 농도가 가장 높았다(P<0.045). Acetate 조성비율은 사료 급여 후 1시간 및 3시간에서 볏짚대신 발효팽이버섯 폐 배지를 60% 대치 급여한 처리구(FSMC-60)에 비하여 볏짚을 급여한 대조구에서 더 높았다(P<0.001). 이와는 반대로 propionate 조성 비율은 모든 반추위액 채취 시간에 걸쳐 FSMC-60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7~P<0.002). Butyrate의 경우 타 처리구에 비하여 볏짚대신 발효팽이버섯 폐 배지를 30% 대치 급여한 처리구(FSMC-30)에서 사료 급여 30분 전(P<0.031)과 급여 후 1시간(P<0.011) 및 6시간(P<0.039)에 높은 조성 비율을 보였다. Propionate에 대한 acetate의 비율(<TEX>$C_2/C_3$</TEX>)은 FSMC-6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사료의 건물(EDDM), 조단백질(EDCP), 조지방(EDEE) 및 NDF(EDNDF) 유효 분해율은 볏짚에 대한 발효팽이버섯 폐 배지 대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단백질(P<0.031)과 NDF (P<0.006)의 전장 소화율은 조사료로서 볏짚만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높았지만 발효팽이버섯 폐 배지를 볏짚의 60% 수준으로 대치 급여한 처리구(FSMC-60)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세한우의 총 증체량 및 평균 일당증체량은 시험사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Metabolic trial with 3 fistulated sheep was conducted in a 3 <TEX>$\times$</TEX> 3 Latin square design and feeding trial with 24 Hanwoo steers in 12 month of age for 20 month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placing effect of rice straw with fermented spent mushroom (Flammuliua velutipes) compost (FSMC)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ruminal effective degradabilty and whole tract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sheep, and to examine the growth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Experimental diets for the metabolic trial with sheep were commercial concentrates and rice straw in the ratio of 70 : 30 (CON, DM basis). Same concentrate with 30% FSMC and 70% rice straw (FSMC-30) and 60% FSMC and 40% rice straw(FSMC-60). Diets for Hanwoo steers in three treatments were same as for metabolic trial in replacing ratio of rice straw with FSMC. pH of rumen fluid in sheep was not affected by FSMC. Ammonia-N content in the rumen fluid was highest in the sheep fed FSMC-60 at 3h (P<0.045). The CON diet increased (P<0.001) acetate proportion at 1h and 3h post feeding compared to FSMC-60 diet while propionate proportion was highest in the sheep fed FSMC-60 diet for all the sampling times (P<0.027~P<0.002). Increased proportion of butyrate was observed at 30 min prior to feeding (P<0.031), and 1h (P<0.011) and 6h(P<0.039) post feeding from sheep fed FSMC-30 diet compared to those from sheep fed other diets. Effective degradability in the rumen was not influenced by experimental diets. Whole tract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P<0.031) and neutral detergent fiber (P<0.006) tended to be increased in the sheep fed CON diet while corresponding values were lowest in the sheep fed FSMC-60 diet. Total body weight gain of Hanwoo steers for 8 months was not different among diets, thus daily body gain was not influenced by the experimental di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