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71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사회적 지지 설문지(이재영, 2012), 직무소진 질문지(김혜경, 2011)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역할수행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원장의 지지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역할수행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은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상담 및 정서적 지원은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다. 셋째, 원장의 지지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물질적 지지는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평가적 지지는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영향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역할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과 원장의 지지를 다각적으로 높여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burnout, and supervisors' suppor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1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Role performance questionnaire, the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 scale, and the perceived burnout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TEX>${\alpha}$</TEX>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revealed that both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he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 had statistically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hild care teachers' burnout. Secondly, role performance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s on child care teachers' overall burnout. Training and teaching activities as a sub-variable of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s on emotional exhaustion, a lack of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 and overall job burnout. Thirdly, supervisors' support also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s on burnout. Material support as the sub-variable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s on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a lack of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 and overall job burnout. Evaluative support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negative influences on dehumanization and a lack of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must be indicated that it needs to promote the support of the supervisor in the various aspects and to provide a way which child care teachers efficiently perform the role in order to reduce their burn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