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적극적인 노동시장 진출과 같은 가정 및 직장의 변화는 직장가정갈등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직장가정갈등을 경험하는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기혼여성근로자들의 직장가정갈등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기혼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 수준 변화를 추정하고 이 변화에 있어서 개인차에 대해 자원보존의 하위요인인 개인, 가족, 조직 수준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자료의 1차년도에서 4차년도까지 총 8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직장가정 갈등의 두 하위차원 모두 1차년도에서 4차년도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가정갈등의 초기 값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보존의 하위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녀돌봄이 적을수록, 본인부모님과의 갈등이 많을수록, 가족 관련 가치관과 가족 내 역할인식이 보수적일수록,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직장 내 성차별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등의 초기 값이 높게 나타났다. 가정-직장갈등의 경우, 본인의 가사노동 정도가 많을수록, 본인부모님과의 갈등이 많을수록, 가족 내 역할인식이 보수적일수록, 복리후생제도 혜택을 적게 받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직장 내 성차별이 높을수록 가정-직장갈등의 초기값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장-가정갈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보존 하위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본인부모님과의 갈등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등의 감소율이 적으며, 복리후생제도 혜택을 많이 받고,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동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가정-직장갈등의 경우, 자녀돌봄과 본인부모님과의 갈등이 많을수록, 가족관련 가치관과 가족 내 역할인식이 보수적일수록 가정-직장갈등의 감소율이 적으며, 복리후생제도 혜택을 많이 받고,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가정-직장갈등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으로는 첫째, 기혼여성 근로자들에게 특성화된 가족친화적 기업복지제도가 제공되어야 하며 둘째, 기혼여성 근로자들의 직장가정갈등에 관한 종단연구가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Growing concern of Work Family Conflict based on the changes of family business and work environment occurs from the active entry of women into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is, it is necessary to verify Work Family Conflict`s changing pattern to establish of managing program for married female workers who is vulnerable. For confirm this research purpose in the study, changing patterns in married female workers` work family conflict were tested and conservation of resources factors` effects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ing were also estimated by applying multilevel models. The dataset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Work Conflic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first year to the forth year. Second, care of children, conflict with their parents, family oriented value, role within family, using welfare benefits, job satisfaction, sexual discrimination in workplac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ial status of Work-Family Conflict. And responsible for housework, conflict with their parents, role within family, using welfare benefits, job satisfaction, sexual discrimination in workplac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ial status of Family-Work Conflict. Third, conflict with their parents, using welfare benefits, job satisfaction effecting significant effects on controlling for the initial status of Work-Family Conflict. And care of children, conflict with their parents, family oriented value, role within family, using welfare benefits, job satisfaction effecting significant effects on controlling for the initial status of Family-Work Conflict. In conclusion, firstly family- friendly occupational welfare has to be provided base on married female workers` specialized need, secondly the longitudinal analysis about married female workers` Work Family Conflict conduct continu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