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주 재래마와 더러브렛(Thoroughbred)종 교잡종인 제주산 마(한라마) 사골 추출분말(HLBE)과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효과를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ORAC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말 사골 추출물은 열수로 8시간씩 3회 추출하여 혼합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로 이용하였다. 동결 건조된 말 사골 추출물은 식품효소인 multifect PR 6L (MP), pepsin (PS), pepsin+ pancreatin 혼합효소(1:1, PSPC)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각 효소의 최적활성 온도인 60, 50, <TEX>$50^{\circ}C$</TEX>에서 분해하였다. 분해 후 3 kDa 이상의 분획과 이하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말 사골추출물의 수율을 100%으로 고정하였을 때 각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분리한 3 kDa 이상의 크기의 분획의 수율은 각각 10.86%, 3.26%, 8.00%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말 사골 추출물보다 3 kDa 이하의 저분자 분획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MP와 PSPC처리군의 3 kDa 이하의 저분자 분획은 말 사골추출물과 3 kDa 이상의 효소분해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ORAC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S처리군 내 3 kDa 이하의 저분자 분획은 MP처리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FRAP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 사골 추출물 자체 보다는 효소를 이용하여 분리한 3kDa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가 더욱 강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을 제시하는 것으로 특히 pepsin에 의해 생성된 저분자펩타이드 보다는 multifect와 pepsin+pancreatin 혼합효소(1:1)에 의해 생성된 분해물이 더욱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말 사골추출물을 multifect와 pepsin+pancreatin 혼합효소(1:1)를 이용하여 효소 분해하여 얻은 3 kDa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 분획은 항산화제로서 식품산업계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in vivo 테스트가 추후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on activity of Jeju crossbred horse (Jeju native horse <TEX>${\times}$</TEX> thoroughbred) leg bone extracts (HLBE) and its enzyme hydrolysates by determination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 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FRAP),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HLBE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for 24 hr and lyophilized. The lyophilized HLBE was hydrolyzed using multifect PR6L (MP), pepsin (PS), and a pepsin and pancreatin mixture (PSPC) for 4 hr at 60, 50, and <TEX>$50^{\circ}C$</TEX>, respectively. The hydrolysates were separated by a molecular weight of 3 kDa more or less. When the yield of HLBE was 100%, the yield of hydrolysates less than 3 kDa of MP, PS, and PSPC was 10.86, 3.26, and 8.00%, respectively. Enzyme hydrolysates with low molecular weight less than 3 kDa in MP and PSP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ORAC compared to HLBE and its hydrolysates with more than 3 kDa. However, the FRAP of the hydrolysates less than 3 kDa in 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MP.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molecular weight enzyme hydrolysates less than 3 kDa have more powerful antioxidation activity, especially when they are hydrolyzed by MP and PSPC rather than PS. Therefore, low molecular weight enzyme hydrolysates of HLBE hydrolyzed with MP and PSPC have significant potential as antioxidants in the food industry. Further in vivo studies are required to support the antioxidation activities of the hydrolysates in vitro.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