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Taxonomy 분류체계 변화에 대응하여 산록경사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안룡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안룡통 대표단명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안룡통은 0~22 cm 깊이에서 ochric 감식표층을 보유하고, 22~120 cm 깊이에서 점토피막과 같은 점토 이동의 근거를 보유하는 arfillic층을 보유하고있다. 그러나 기준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양이온 합)가 32.3%로 35% 미만이므로 Alfisols이 아나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안룡통은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Udults로 분류할 수 있으며, Hapludults의 분류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Typic 아군의 분류조건을 충족시키므로 Typic Hapludults로 분류할 수 있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토성속이 식양질이고, 토양온도상이 mesic 온도상이기 때문에 안룡통은 Fine loamy, mesic family of Ultic Hapludalfs가 아니라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안룡통은 산록경사지에 분포하고 있으면서도 안정한 지형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새로운 붕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을 받았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는 토양으로 생성 발달되었다. 또한 Alfisols 과 Ulrisols을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기준인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호서 Alfisols이 아니라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발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Anryo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Anryong series distributed on the mountain foot slop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Anryo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Anryong series has brown (7.5YR 4/4) loam Ap horizon (0-22 cm), strong brown (7.5YR 4/6) cobbly clay loam BAt horizon (22-35 cm), strong brown (7.5YR 4/6) cobbly clay loam Bt1 horizon (35-55 cm), reddish brown (5YR 5/4) cobbly clay loam Bt2 horizon (55-82 cm), and brown (7.5YR 5/4) cobbly clay loam Bt3 horizon (82-120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22 to 120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lf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Hapludults. It has 18-35%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ve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Anryo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 not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Ultic Hapludalfs. Anryong series occur on mountain foot slope positions in colluvial materials derived from acid and intermediate crystalline rocks. They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clay mineral weathering, translocation of clays to accumulate in an argillic horizon, and leaching of base-forming cations from the profile for relatively long periods under humid and temperate climat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