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기 프로세스의 비정상성의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의 지역 기후 모델을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연구이다. 이를 위해 WRF를 이용하여 과거 호우사상을 재현하였고 모의능력을 평가하였다. 모형의 초기조건 및 경계조건을 설정하기 위해서 NCEP의 재분석 자료와 해수면 온도 자료, 지상관측 자료가 사용되었다. 미세물리 과정과 적운 모수화 과정을 변경해 가며 총 9개의 수치 실험이 실시되었다. 수치모의 결과는 강수량이 초기조건 및 경계조건과 적운 모수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 옵션 중에서 WRF single-Moment 6-class 방안과 New Kain-Fritsch 방안은 강우의 공간적인 분포는 합리적으로 재현하였지만, 총 발생강수량이 과대 산정되었으며, 시간적인 분포는 재현하지 못했다. 이는 방재분야에 WRF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This paper presented a base study for new methodology that uses a physical based regional climate model that can also incorporate the effect of the nonstationarity of atmospheric proces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capability of the WRF in reproducing the selected historical heavy rainfall events over Korea. WRF used the NCEP FNL reanalysis data, RTG Sea Surface Temperature data and ADP Global Surface Observational Weather data for its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Nin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by changing the physics option (microphysics processes and cumulus parameterization process).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showed a big variation in rainfall according to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 and cumulus parameterization. In physics option, WRF single-Moment 6-class scheme and New Kain-Fritsch scheme were reasonably reproduced in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but the amount was overestimated and dose not reproduce 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This indicates that a new methodology necessary to WRF for hazard mit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