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 중 외부공간에 다양한 요소들이 도입되어 공간적 개념을 가지고 만들어진 87개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의 특성, 기념조각의 특성, 그리고 표현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였으며,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베트남전쟁 메모리얼 85개소(97.7%)에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국가를 위한 헌신이 강조되었고, 84개소(96.6%)에서 지역 부대 집단의 명예를 고양하는 것이 기본적 설계개념으로 적용되었다. 2. 메모리얼의 공간적 형태는 59개소(67.8%)에서 원형이나 축적 구성을 통하여 독립적인 공간의 완성이 추구되었고, 11개소(12.6%)에서 넓은 부지에 다양한 도입요소나 대지조형을 통하여 공간이 구성되었으며, 기념벽을 주요소로 한 것도 12개소(13.8%)에서 나타났다. 3.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주로 기념벽이 사용된 곳이 65개소(74.7%)였고, 대부분의 메모리얼에서 다른 전쟁메모리얼처럼 국가 및 지역, 부대의 명예 고양을 위해 기와 엠블렘이 사용되었다. 이 밖에 빈 의자, 기념비나 마커, 기둥 및 열주, 폰드 및 수로, 헬리콥터 등이 일부 메모리얼에 도입되었다. 4. 메모리얼에서는 V자형 검은색 기념벽을 자주 사용하였기 때문에, 기념조각은 상대적으로 적은 21개소(24.1%)에서 도입되었다. 이 중에서 승리를 고무하는 영웅적인 전투 장면보다는 병사상이나 부상 장면을 묘사한 사실적 조각이 16개소(18.4%)로 대부분이었고, 일부에서 추상조각 및 은유조각이 사용되었다. 5. 전사자 및 실종자 등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기념벽에 전사자 및 실종자 이름을 새기거나, 일부에서는 전사자 및 실종자의 사진 및 추모시를 음각하였고, 'DUTY, HONOR, COUNTRY'와 같은 상징적 문구를 적었으며, 전쟁으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전쟁포로 및 실종자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MIA/POW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6. 미국에서는 기념벽을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여 전사자 실종자 참전군인의 이름을 새기고, 성조기 부대기 주기 등을 게양하며, 'ALL GAVE SOME, SOME GAVE ALL' 및 'DUTY, HONOR, COUNTRY'를 자주 표현하여 희생자를 추모하고, 명예를 고양하는 민주주의적 애국주의를 강조하였다. 반면, 베트남에서는 전쟁승리 및 민족 저항정신을 강조하였고, 사회주의의 대표적 양식인 기념조각 및 기념탑을 자주 사용하였으며, '조국은 당신을 기억한다'는 의미의 'TO-QUOC-GHI-CONG(토-국-기-공(土-國-記-功))'을 새기어, 민족주의, 사회주의, 애국주의를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대조적이다. 향후 베트남 및 미국 이외에 베트남전쟁 참전국인 한국 및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국가적 기념성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Vietnam War Memorials(VWM) in the United States(VWMUS).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research, the researcher selected 87 VWMUS except monuments simply with markers, and analyzed 5 analysis items: design concepts, spatial characteristics, landscape details, sculptures, and interpretive texts and symb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concepts of VWMUS were to cherish victims of the Vietnam War(85 sites (97.7%)), show veteran's dedication for country(85 sites(97.7%)), and publicize the contribution of groups by troop, regional, and membership(84 sites(96.6%)). 2. Most VWMUS were located in memorial parks and plazas. 59 memorials(67.8%) were designed to pursue the completion of each memorial assuming the form of symmetry and circles. On the other hand, 12 memorials(13.8%) were typed memorial walls and 11 memorials(12.6%) were formed by spatial sequence including various landscape details and grading. 3. Stone walls were mainly used to cherish victims of the War at 65 memorials(74.7%), and also, Flags like the Stars and Stripes, POW MIA flags, and state flags were hoisted to symbolize memorial's identity at all memorials. Additionally, Benches, monuments, markers, posts and columns, ponds and channels, Helicopters were partially introduced some memorials. 4. Sculptures were used 21 memorials(24.1%) which were smaller in numbers than other War Memorial in the U.S.A., for black stonewall were used for the main element of VWMUS. Except for a few sculptures that aimed to represent the Vietnam War symbolically and narratively, 16 memorials(18.4%) were formed to realistically express the image of wounded soldiers and their hardship in the Vietnam War. 5. KIA, MIA, Veteran's name were written and their images depicted on walls, Also, the symbolic phrase, 'ALL GAVE SOME, SOME GAVE ALL' and 'DUTY, HONOR, COUNTRY' were written on the memorials walls, and the POW MIA symbols were printed on the flags and engraved on walls. 6.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Democratic patriotism was considered a main ideological value in VWMUS by engraving KIA MIA's names on the walls, hoisting flags Stars and Stripes and POW MIA, and writing symbolic phrases 'ALL GAVE SOME, SOME GAVE ALL' and 'DUTY, HONOR, COUNTRY'. On the contrary, in Vietnam, nationalism, patriotism, and socialism were emphasized as main ideologies through raising war victory and resistance to foreign power as well as writing the symbolic phrase 'TO-QUOC-GUI-CONG' meaning 'our country remember your achievement' on memorial towers.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comparatively analyze VWM in order to understand national characteristics in Korea, Australia, U.S.A, and Viet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