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사의 생활지도가 고등학생의 활동 경험을 매개로 학생의 시민의식과 세계시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자료 중 6차년도(2018)에 수집된 고등학생 5,683명의 학생설문지와 학생역량조사지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구조방정식모형, 매개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생활지도와 학생의 시민의식, 세계시민성 수준은 모두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 변인, 즉, 교사의 생활지도, 학생의 활동 경험, 학생의 시민의식 및 세계시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변인 간 직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생활지도는 학생의 활동 경험과 세계시민성에, 그리고 학생 활동 경험은 학생의 시민의식과 세계시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교사의 생활지도는 학생의 시민의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모형의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생활지도가 학생의 활동 경험을 매개로 학생의 시민의식과 세계시민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 연구 결과는 한국의 고등학교 상황에서 교사의 생활지도가 학생들의 활동 경험을 증진시키고 이러한 활동 경험을 매개로 학생들의 시민의식과 세계시민성이 고취된다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시켜 주었다 데 의의가 있는 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시민의식과 세계시민성 증진에 도움이 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our variables under the assumption that teacher guidance would affect both the actual national and glob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via their extra-curricular activities. Utilizing responses from 5,683 high school students’ surveys collected during the 6th year of the 「KELS 2013」, descriptive statistic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ediator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ly,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s of teacher guidance,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of students were all above average. Secondly, the SEM among the four variables, which include teacher guidance, stud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was found to be appropriate. Thirdly, while teacher guidance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global citizenship, it does not directly affect students’ citizenship. Extra-curricular activities, however, are shown to directly affect both students’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Fourthly, the analysis of the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ion model shows that a teacher’s guidance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of student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could be dra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