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의 한 여자 대학교에서 영어회화 수업을 수강하는 비영어전공 대학생들의 언어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조사하고 그들의 불안 수준에 나이, 계열, 그리고 영어 학습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고자 함이다. 연구 대상은 2019년 가을 학기에 교양영어 수업을 15주 간 수강한 514명의 1학년 한국 대학생들이다. 이들은 Horwitz의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외국어 교실 불안 척도)를 바탕으로 23문항으로 수정된 설문에 응답하였다. 1)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학습 중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2) 나이, 계열, 영어 학습기간에 따라 학습 불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6을 이용하여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불안 유발 요인은 대부분 (1) 문법적 실수를 하는 것, (2) 구술시험을 치르는 것, 그리고 (3) 준비 없이 수업 시간에 말하기였다. 응답을 분석하기 위해 ANOVA test를 사용한 결과 영어 학습기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F=5.559, p-value = .000). 한편, 나이와 계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causing language anxiety by non-English major university students taking general English conversation class in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It also aimed to examine if their level of anxiety is significantly varied in terms of their age, fields of majors, and length of studying English. For the study, the subjects were 514 first-year students in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lassrooms during a 15-week semester in the fall of 2019.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a 23-item modified survey based on Horwitz’s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In order to find out 1) what factors make learners anxious while learning EFL and 2) how their English learning anxiety varies by age, different fields of majors, and length of studying English,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anxiety-provoking factors among students were their fear of (1) making grammatical mistakes, (2) having oral tests, and (3) speaking without preparation in class. Furthermore, a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ses.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length of studying English (F = 5.559 and p-value was .000 on the ANOVA test). In respect to age and different fields of majors, the ANOVA test disclos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