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량원소인 Mo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금향', '매향' 및 '설향' 딸기를 재배하면서 생장에 미치는 시비수준의 영향,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의 한계농도, 그리고 과잉에 의해 발현되는 생리장해의 특징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비용액의 Mo 농도를 높일 경우 엽록소 함량이 뚜렷하게 직선적으로 감소하여 세 종류 딸기에서 Mo 시비농도의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금향'과 '매향'은 3.0mM 이상, 그리고 '설향' 딸기는 1.0mM 이상의 고농도 Mo 시비구에서 이보다 낮은 Mo 시비구보다 유의하게 생체중 및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Mo이 과다하게 시비될 경우 최초의 Mo 과잉증상이 하위엽에서 발현되었으며, 하위엽 가장자리가 황화된 후 괴사하면서 그 부위가 점차 확대되는 양상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하위엽 가장자리가 점차 구리색으로 변하면서 그 부위가 상위엽으로 확대되었으며, 신생엽에서는 엽맥 간 황화현상이 나타났다. Mo 시비농도를 증가시켜도 세 종류 딸기의 식물체 내 P, K 및 Mg 함량은 처리간 통계적인 차이와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금향'과 '설향' 딸기에서 Mo 시비농도에 따른 처리간 Ca 함량의 차이가 인정되었는데 1.0mM Mo 시비구에서 가장 높고, 이보다 높거나 낮은 Mo 시비농도에서 Ca함량이 감소하였다. 관비용액의 Mo 농도를 0.25mM로 조절한 처리의 식물체 내 Mo 함량이 '금향', '매향' 및 '설향'이 각각 76.5, 104.0, <TEX>$187.3mg{\cdot}kg^{-1}$</TEX>였지만, 시비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체내 Mo 함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4.0mM 시비구에서 각각 4,155, 5,367 및 <TEX>$2,190mg{\cdot}kg^{-1}$</TEX>으로 분석되었다. 최대생장량의 90% 생장량과 이때의 식물체 내 Mo 함량을 정상적인 작물재배를 위한 최대한계점으로 간주하면 '금향', '매향' 및 '설향' 딸기의 건물중에 기초한 Mo 함량이 각각 653.4, 686.2, 그리고 <TEX>$589.73mg{\cdot}kg^{-1}$</TEX> 이하를 유지하도록 Mo 시비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olybden (Mo)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on the growth of and nutrient uptake by domestically bred strawberries. Tissue analysis based on the dry weight was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levels in plants when Mo toxicity developed in strawberries. The leaf chlorophyll contents decreased lineally as Mo concentrations in the fertilizer solution were elevated. The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chlorophyll cont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resh and dry weights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Mo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were higher than 3.0 mM in 'Keumhyang' and 'Maehyang' strawberries and 1.0 mM in 'Seolhyang' strawberry. The elevation of Mo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resulted in severe toxicity and crops developed the unique symptoms. The margin of older leaves became yellow and desiccated. Then, the margin of leaf blade rapidly became bronze colored and died as the symptoms spread up the plants. The interveinal area of the young leaves became yellowing. The elevation of Mo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did not influence the tissue P, K, and Mg contents based on the dry weight. The tissue Ca contents were higher in 1.0 mM treatment than other treatments of 'Keumhyang' and 'Seolhyang' strawberries. The tissue Mo contents based on the dry weight of 'Keumhyang', 'Maehyang', and 'Seolyahng' strawberries were 76.5, 104.0, and 187.3 <TEX>$mg{\cdot}kg^{-1}$</TEX>, respectively, in the 0.25 mM treatments and 4,155, 5,367, and 2,190 <TEX>$mg{\cdot}kg^{-1}$</TEX>, respectively, in the 4.0 mM treatments. The contents increased lineally as Mo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were elevated. When the concentration of Mo at which growth of crops were retarded by 10% is regarded as threshold level, the Mo contents based on dry weight of above ground plant tissue should be lower than 653.4, 686.2, and 589.7 <TEX>$mg{\cdot}kg^{-1}$</TEX>, in 'Keumhyang', 'Maehyang', and 'Seolyahng' strawberrie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