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험은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 총체맥류 주요 품종에 대하여 봄 파종시 출수 여부,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 등을 적기 파종과 비교하고자 2008/2009년에 충남농업기술원(예산) 밭 사료포에서 수행되었다. 시험초종 및 품종은 청보리(영양, 파성 I), 밀(금강, 파성 II), 호밀(곡우, 파성 III 추정), 트리티케일(신영, 파성 III 추정), 귀리(삼한, 파성 II 추정)이었고, 파종기는 가을 적기파종(10월 18일)과 봄 파종(2월 23일, 3월 10일)을 두었다. 출수기는 봄 파종시 가을 적기 파종에 비하여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등은 약 16~20 일, 귀리는 약 9일 늦었다. 봄 파종시 수확시기는 영양 보리(황숙기) 6월 8일, 곡우 호밀(출수 후 10일) 5월 25일, 금강 밀(황숙기), 신영 트리티케일(유숙기) 및 삼한 귀리(유숙기)는 6월 17일경 이었다. 봄 파종은 가을 파종에 비하여 출현기부터 출수기까지의 적산온도의 감소가 컸고, 파종기~출현기, 출수기부터 성숙기까지의 적산온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 경수에서 출수된 이삭수의 비율은 영양 보리, 금강 밀, 신영 트리티케일, 삼한 귀리 등은 62.0~73.1% 로서 정상적으로 출수되었고, 곡우호밀은 56.0%로서 출수되지 않는 분얼이 많았다. 봄 파종시 건물수량은 삼한 귀리> 신영 트리티 케일>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순으로 많았고, 가을파종에 비하여 영양 보리 71.7%, 금강 밀 60.6%, 곡우 호밀 46.2%, 신영 트리티케일 70.2%, 삼한 귀리 110.9% 수준이었다. 총체맥류를 봄에 파종하면 가을 파종에 비하여 ADF 함량, NDF 함량 및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소화건물함량과 상대사료가치는 낮아졌다. 봄 파종시 평균 가소화 건물수량은 삼한 귀리> 신영 트리티케일>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순으로 높았고, 가을에 파종한 것에 비하여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신영 트리티케일은 모두 감수되었고, 삼한 귀리는 증수되었다. 따라서 예취시기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봄 파종은 귀리가 가장 알맞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신영 트리티케일, 영양 보리 순이었으며, 곡우 호밀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총체 맥류의 봄 파종 및 재배는 파성을 소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2월 말(경칩 전) 얼음이 풀리는 대로 가능하면 빨리 파종하여 낮은 지온으로 종자 상태에서 춘화처리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Few spring sowing have been conducted on winter cereal crops for whole-crop silage u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during 2007 and 2008 at the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the spring sowing with the optimum season's sowing on growth, yield and feed quality in five winter cereal crops. The treatments consisted of 5 winter cereal crops, Youngyang (Barley, Spring habit I), Keumkang (Wheat, Spring habit II), Gogu(Rye, Spring habit estimated III), Shinyoung (Triticale, Spring habit estimated III), Samhan(Oat, Spring habit estimated II), and 3 planting dates, 18 October (optimum season's sowing), 23 February and 10 March in spring. Heading days as affected by spring sowing compared to optimum season sowing were delayed by 16~20 days in barley, wheat, rye and triticale, and 9 days in oat. The clipping dates at the optimal harvesting stage of each crop for round-baled silage in spring sowing was 8 June (yellow ripe stage) in barley, 25 May (10 days after heading) in rye, and 17 June in wheat (yellow ripe stage), triticale (milky stage) and oat (milky stage). The accumulative temperature from emergence to hea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affected by spring sowing compared to optimum season's sowing, but that of sowing to emergence and that of heading to maturing was similar. The rate of spikes per tillering surveyed at each clipping date was 62.0-73.1 percent in barley, wheat, triticale and oat, and 56.0 percent in rye compared to that of optimum season sowing. The dry matter yield in spring sowing compared to 18 October was obtained about 71.7 percent in barley, 60.6 percent in wheat, 46.2 percent in rye, 70.2 percent in triticale and 110.9 percent in oat. It were increased in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crude protein content, but decreased in digestible dry matter content(DDM) and relative feed value (RFV). The yield of DDM by spring sowing was decreased in barley, wheat, rye and triticale, but increased in oat. The yield of dry matter and DDM were higher in oat and triticale than that of barley, wheat and oat. So, regardless to clipping dates and cropping system, the appropriated crop for spring sowing was oat, and subsequently triticale and barley. It was not adopted for spring sowing in rye because of low rate of no. of spikes per tillers and yield. It was necessary eliminated winter growing nature by earlier sowing at the late of February after overwi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