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국내외 교육학계에서 주변화한 독일 교육학자 하이돈의 교육사상을 정리하고 이 이론의 성격과 현재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맨 먼저 파시즘의 폭력 체계를 경험한 하이돈의 생애를 살펴보았다. 이때 그의 활발한 정치적 활동과 교육적 실천을 알 수 있고, 60년대 말 독일 교육개혁 담론에 대한 비판에서 그의 교육(Bildung) 개념의 역사적·변증법적 이해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하이돈이 주장하는 “교육과 지배의 모순”의 테제는 해방과 종속의 모순이 교육 자체에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고, 이것은 지배 관계가 교육을 통해 성립하고, 거꾸로 교육은 사회적 요구에 종속되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은 각 개인으로 하여금 지배 상황을 깨뜨릴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하이돈이 사망한 후 그의 이론을 계승하여 급진적으로 발전시킨 코네프케는 시민 사회와 교육학의 변증법적 관계에 주목하였다. 그에 의하면, 시민 사회에서 교육학은 개인들의 자립을 강조하면서 사회 체제로의 편입을 수행하지만, 동시에 바로 그러한 자율성이 사회적 요구에 반대하는, 즉 저항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교육학자 및 교육실천가는 교육(학)을 항상 사회적 조건과 연관시켜서 파악하고, 인간화를 위한 교육(학)의 책임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하이돈의 비판적 교육이론은 후세대학자들이 오늘날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적 상황에 직면하여 발생하는 상이한 교육문제(독일의 교육개혁, 통제사회에서 주체성의 문제,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비판과 해방의 가능성 등)를 고찰하는 데 교육과 지배의 모순테제를 자신의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그 현재성을 인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교육을 통해 모든 사람을 행복하게 하려는 시도가 실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러한 실패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교육학의 부단한 자기비판 속에 해방적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자 한다.This thesis will examine German pedagogist Heydorn’s thoughts on education and his influence on the field of education, both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heres, and will aim to consider the nature of pedagogy based on his theory. First, I examined Heydorn’s life, including his experiences with the violent system of fascism. Heydorn’s animated politic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practices were clarified during this research process. I was able to grasp his historical and dialectical comprehension of education from his criticism of the discourse on educational reform in Germany in the late 1960s. Heydorn’s essay “On the Contradiction between Education and Power” implies that the contradiction between liberation and subordination is inherent in education itself, domination comes into existence through education, and that education is becoming subordinate to social demands. However, education provides individuals with the opportunity to destroy dominating circumstances. Gernot Koneffke pointed out that pedagogy stresses the independence and maturity of individuals in a civil society while attempting to incorporate a social system. Simultaneously, he noted that such autonomy led to an opposition to social demands and made resistance possible. In that sense, there would be a constant need for pedagogists and education practitioners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social conditions and education and pedagogy and to gain awareness of the responsibilities of pedagogy for humanization. Subsequent scholars of the critical education theory are conducting studies on the contradiction between education and power with regard to educational problems (the education reform in Germany, problems of subjectivity in a controlled society, racism, antisemitism,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and liberation, etc.) in today’s changing social context. In conclusion, this thesis aims to raise awareness of the fact that endeavors to make everyone happy through education can fail, and yet, such failure can lead to the discovery of a possibility for liberation that may be reflective of failure in the midst of constant self-criticism in pedag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