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모시잎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in vivo에서 5주령 된 흰쥐 수컷 24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 식이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5% 모시잎 분말 첨가군(HFC-R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0% 모시잎 분말 첨가군(HFC-RH)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모시잎 분말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대조군(HFC)이 가장 낮았으며, 모시잎 분말 급여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효율은 10% 모시잎 분말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 식이군(N)의 식이효율 수준과 유사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지방조직의 무게는 10% 모시잎 분말 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 식이군(N)보다 오히려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혈청 중 AST, ALT, ALP 및 LDH 활성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저하되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과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증가되었으나, 모시잎 분말 첨가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감소되어진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되어진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5%와 10%의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10% 모시잎 분말을 급여하였을 경우 감소효과가 커 정상 식이군(N)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간조직 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대조군(HFC)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모시잎 분말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모시잎 분말의 첨가 급여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급여한 모시잎 분말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시잎 분말에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소와 클로로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와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 대사성 합병률과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 외에 어떠한 생리활성 성분이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mie (Boehmeria nivea) leaf powder on improvements in lipid metabolism in serum, liver and adipose tissue, and the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for 4 weeks to induce a hyperlipidemic and obese model rat.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ting 210 g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rmal diet group (N),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group (HFC),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5% ramie leaf powder group (HFC-RL), an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with 10% ramie leaf powder group (HFC-RH). The body weight gain increased with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but gradually decreased in the ramie leaf powder fed groups compared with the HFC group. The liver index in the HFC group was highest among the four group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ramie leaf powder fed groups. The adipose tissues weight in the HFC group was heavier than that of the N group, whereas those of groups fed ramie leaf powder decreased gradually.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HFC groups, but serum alkal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ramie leaf powder feeding.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and cardiac risk factors tended to decrease in the ramie leaf powder fed groups compared with the HFC group, whereas serum HDL-cholesterol level decreased in the HFC group and markedly increased in the ramie leaf powder fed groups.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ramie leaf powder fed groups than in the HFC group.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adipose tissues were also lower in the ramie leaves powder fed groups than in the HFC group. The activities of heparinreleasable lipoprotein lipase (LPL) and total-extractable LPL in adipose tissues increased in the HFC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N group, but those of the ramie leaf powder f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mie leaf powder may improve lipid metabolism in serum, liver and adipose tissue and potentially reduce lipid storage.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