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 폴리페놀 화합물인 EGCG의 화학안정성, H2O2 생성능 및 세포독성에 대하여 다양한 항산화제와의 조합에 의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EGCG는 생리적 조건에서 갈색화합물로 산화되면서 불안정화되는데, catalase를 제외한 각종 항산화제제 SOD, ascorbic acid, NAC 및 GSH는 EGCG 갈색산화물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EGCG에 의해 생성되는 <TEX>$H_2O_2$</TEX>는 catalase에 의해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었으며, SOD와 NAC에 의해서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GSH 및 고농도의 ascorbic acid의 존재 시 오히려 <TEX>$H_2O_2$</TEX> 수준이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EGCG의 HeLa 및 HT-29 세포에 대한 독성은 catalase, SOD 및 NAC 등과 같은 항산화제 존재 하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NAC에 의한 EGCG 세포독성의 감소는 첨가된 NAC의 농도 증가에 따라 더욱 두드러졌다. 그러나 GSH 존재하에 EGCG의 독성은 GSH와 EGCG농도에 따라 다른 조절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에 의해서 EGCG의 세포독성이 약간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EGCG와 함께 처리된 다양한 항산화제들이 ROS의 소거 뿐만 아니라 EGCG 화학안정성 등 다른 요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항산화제의 존재 하에 변형된 EGCG활성에 대해 ROS관련 기작 외에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is a polyphenolic compound frequently found in green tea, and its physiological actions have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changes in chemical stability and cytotoxic properties of EGCG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types of antioxidants wer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s used modulated the chemical stability of EGCG. Superoxide dismutase (SOD) significantly increased EGCG stability; EGCG was less stable in the presence of catalase. Ascorbic acid, N-acetylcysteine (NAC), and glutathione (GSH) stabilized EGCG concentration dependently. The <TEX>$H_2O_2$</TEX> level generated from EGCG was decreased by catalase, SOD, and NAC but not by GSH. The cytotoxic effects of EGCG also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NAC, catalase, and SOD. GSH, however, showed a complicated modulatory pattern according to the EGCG and GSH concentrations, and ascorbic acid rather enhanced EGCG toxicity. The results suggest that certain antioxidants could modulate the cytotoxic properties of EGCG in a cell culture system not only by removing reactive oxygen species but by modulating chemical stability and other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when studying reactive oxygen species-dependent mechanisms of EGCG.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