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이 효과적인 진로 탐색 행동으로 성공적인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진로지도 및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2014년 12월 1일부터 2014년 12월 12일까지 울산 지역과 대구 지역에 소재하는 2개 대학 치위생과 여학생들을 편의 표본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진로지원 평가와 진로 탐색 효능감은 전공에 대하여 만족하거나 자신의 적성에 맞을 경우 높았고, 가정형편이 좋지 않거나 성적이 하위권일 경우에는 낮았다. 관계구축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졸업 후 교육계를 희망하거나 취업성공에 있어서 적극적인 태도와 정보습득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진로 탐색 행동은 학교 진로지원 평가와 진로탐색 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 탐색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탐색 효능감(<TEX>${\beta}=0.702$</TEX>, p<0.001)이며 개인탐색 효능감(<TEX>${\beta}=.0.242$</TEX>, p<0.001), 실제적 진로지원(<TEX>${\beta}=0.165$</TEX>, p<0.05)과 관계구축 효능감(<TEX>${\beta}=0.152$</TEX>, p<0.05)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위생과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탐색 행동으로 성공적인 취업을 이끌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향상과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 선택이 아주 중요하고 체계화된 직업 탐색 프로그램과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강화 프로그램 활용이 필요하며 대학의 실제적인 진로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진로 및 취업지도에 관한 지원부서 및 전문 상담기관 활용, 직업 탐색 프로그램의 운영효과 등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evaluation on career support by the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in December 2014 with students of dental hygiene at universities located in Ulsan and Daegu as subjects. In the resul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sub-factors of evaluation on career support by the college, career exploration 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crease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TEX>${\beta}=0.702$</TEX>, p<0.001), practical career support (<TEX>${\beta}=0.165$</TEX>, p<0.05), and relationship establishment efficacy (<TEX>${\beta}=0.152$</TEX>, p<0.05) led to increase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hile increase of individual exploration efficacy (<TEX>${\beta}=.0.242$</TEX>, p<0.001) led to decrease of career exploration 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ppropriate value system related to job seeking, conduct active discussions to increase relationship establishment efficacy by u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inforcement program, and expand career support program by the college.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