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로, 하천, 호수, 강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생잡초는 왕성한 생장으로 관개, 배수에서 유속 감소, 수생 생태계에 영향 등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수생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로, 하천, 강 주변 습지와 수중에서 발생하는 수생잡초와 침입식물의 분포 및 방제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수생잡초의 효과적인 관리대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수로, 저수지, 호수 주변의 수생잡초는 갈대, 나도겨풀, 줄, 망초, 개망초, 소리쟁이, 개기장, 미국가막사리, 부들, 주요 강변의 습지에서는 바랭이, 갈대, 소리쟁이, 쑥, 환삼덩굴, 피, 미국가막사리, 고마리가 우점하였다. 수로 및 호수에서 발생한 침수잡초는 검정말, 나자스말, 대가래, 말즘, 붕어마름, 생이가래, 마름이 우점하였다. 습지에서 외래잡초는 토끼풀, 달맞이꽃, 개망초, 망초, 미국가막사리, 메귀리, 돼지풀, 도꼬마리, 미국개기장, 소리쟁이가 우점하였다. 수생잡초 방제는 기계적, 화학적, 생물적 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습지에서 수생잡초와 외래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수생잡초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기계적, 화학적 방제를 포함한 종합잡초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가 요망된다. Many irrigated and drainage canals, reservoirs, lakes, and rivers are choked by the explosive growth of aquatic weeds, resulting in enormous direct loss in Korea. Distribution of aquatic weeds and exotic invasive plant species in irrigation and drainage waterways, and riparian wetlands was review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aquatic weeds and invasive plant species in wetlands. Dominant emergent weeds in canals, reservoirs and lakes were Phragmites communis, Leersia japonica, Zizania latifolia, Conyza canadensis, C. annuus, Rumex crispus, Panicum dichotomiflorum, Bidens frondosa, and Oenothera odorata. Dominant emergent weeds in wetlands of rivers include Digitaria sanguinalis, P. communis, R. crispus, Artemisia princeps, Humulus japonicus, Echinochloa crusgalli, B. frondosa, and Persicaria thunbergii. In irrigation and drainage canals and lakes, dominant submersed weeds were Hydrilla verticillata, Najas minor, Potamogeton malaianus, P. crispus, Ceratophyllum demersum, Myriophyllum verticillatum, Salvinia natans, and Trapa natans. Dominant exotic weeds in wetlands include Trifolium repens, O. odorata, C. annuus, B. frondosa, Avena fatua, Ambrosia artemisiifolia, X. strumarium, and P. dichotomiflorum. Approaches to aquatic weed control were mechan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techniques. Periodic monitoring of aquatic weeds and exotic weeds, and their integrated management studies are needed in waterways and riparian wetland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