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판되는 기장산, 진도산 및 완도산 미역 완제품(가닥미역과 실미역)의 일반성분, 미량금속, 유리아미노산 함량, 알긴산 함량,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여 산지별 미역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의 함량과 칼로리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회분의 경우, 기장산 실미역은 32.5%, 완도산 실미역은 26.6%로 나타나 기장산 실미역이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다. 조지방의 경우, 기장산 가닥미역은 0.53%, 진도산 가닥미역은 1.47%로 나타나 진도산 가닥미역의 조지방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닥미역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ydroxyproline, alanine, glutamic acid, proline 그리고 asparagine이었으며, 실미역은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현저히 낮아 미역 가공 공정에 따라서 많은 유리아미노산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종류의 주요금속원소(Na, K, Ca, Mg)과 3종류의 미량금속원소(Fe, Zn, P)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Ca, Fe, Zn, Mg 그리고 P의 함량은 기장산 가닥미역과 실미역에 비해 완도산 가닥미역과 실미역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긴산의 함량은 가닥미역의 경우 제품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실미역의 경우 완도산 실미역(26.0% )이 기장산 실미역(21.0% )에 비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기장 및 진도산 가닥미역의 메탄올 추출물 <TEX>$40\;{\mu}g/ml$</TEX> 농도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45.5% 및 33.5%로 기장산 가닥미역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 및 완도산 실미역의 경우 각각 37.0%와 27.0%로 기장산 실미역의 라디칼 소거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 결과,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였고, 기장 및 진도산 가닥미역의 메탄올 추출물(10 mg/ml)의 SOD 유사활성은 각각 66.1%와 72.5%였으며, 기장 및 완도산 실미역의 메탄올 추출물(10 mg/ml) SODA 유사활성은 각각 63.0% 및 71.4%로 분석되었다.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미역의 methanol 추출물을 <TEX>$200\;{\mu}g/ml$</TEX>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기장 및 완도산 실미역의 NO 활성은 각각 44.2%와 35.7%로 나타났으며 가닥미역의 경우는 기장 및 진도산이 각각 40.7%와 28.6%로 나타나 산지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가공과정에 따라 생리활성 성분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 contents, alginic aci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mino acids of sea mustards (Miyeok: Undaria pinnatifida)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area. Ash content was higher in Gijang samples, whereas carbohydrate and moisture were higher in Wando Sil Miyeok. General compositions of dried sea mustard showed different contents as manufacture's company and places.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hydroxyproline, alanine, glutamic acid and asparagine in Gijang samples. Both Gijang and Wando Sil Miyeok showed lower contents comparing with Gijang Gadak Miyeok. Major mineral content was Na, K, Ca, Mg and P, and especially, Na and K were the most abundant in both Gijang and Wando sea mustards. Alginic acid content was almost similar in both sea mustards.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sea mustards was measured by u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OD-like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45.5% <TEX>$(40\;{\mu}g/ml)$</TEX> in Gijang Gadak Miyeok and 37.0% and 26.0% <TEX>$(40\;{\mu}g/ml)$</TEX> in Gijang and Wando Sil Miyok, respectively. SOD-like activity of Gijang and Wando Sil Miyok was 63% and 71% <TEX>$(10\;{\mu}g/ml)$</TEX>,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biological activities depend on Miyeok manufacture's process. When stimulated macrophages RAW264.7 cells with lipopolysaccharide (LPS), inhibition of NO production in Gijang Sil Miyeok (44.2%) was 9% high comparing with that of Wando Sil Miyeok (35.7%).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