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에서의 기술교과 교육의 변천 과정상의 특징을 찾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변천의 특성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시기별 과목명의 변천과 주당 이수시간의 변화, 각 교육과정별 교육 목표, 주요 내용,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을 비교 분석하여 변화 추이를 알아보았다. 교육과정의 시기별 구분은 기술 과목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느냐, 통합과목의 일부 영역으로 존재하느냐에 따라 ‘독립 과목기’와 ‘통합 과목기’로 구분하였다. 독립 과목기는 제1기(1969. 9. 개정교육과정시기), 제2기(1974. 12. 개정교육과정시기), 제3기(1981. 12. 개정교육과정시기), 제4기(1988. 3. 개정교육과정시기)로 구분하고, 통합 과목기는 제5기(1992. 10. 개정교육과정시기), 제6기(1997. 12. 개정교육과정시기), 제7기(2008. 9. 개정교육과정시기), 제8기(2011. 8. 개정교육과정시기), 제9기(2015. 9. 개정교육과정시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평가 및 지도상의 유의점을 분석하여 변천의 특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기술교육은 제1기부터 제5기까지는 ‘기술’과의 명칭으로 독립된 과목으로 존재하다가 제6기부터 ‘기술․가정’과로 과목명이 바뀌면서 다른 교과와 통합된 형태로 변화하였다. 둘째, 양적인 측면에서 시수의 감축 및 필수교과에서 선택교과로의 변화 등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기술교육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차 낮아졌다. 셋째, 질적인 측면에서 기술의 영역을 중심으로 단원을 설정하였던 것에서 핵심 개념 중심으로 기술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기술교육의 목표가 직업에 관련된 기술적 능력을 중시하던 것에서 일반교육으로서의 기술적 소양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다섯째, 기술교육의 방법과 평가방법이 지식의 전달이나 전통적인 실습, 결과 중심의 평가에서 학생의 활동 중심 수업과 수행 및 과정 중심 평가로 변화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rocess of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t Korean high school and to compare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e period when the technology subject was an independent course and the period when it was a part of the integrated course, educational objectives, main contents, guidance and evaluation. The period of the curriculum is divided into ‘independent subject’ and ‘integrated subject’ depending on whether the technology subject exists independently or whether it exists as a part of integrated subject. The independent subject period is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revised curriculum in 1969), the second period(revision curriculum in 1974), the third period(revised curriculum in 1981), the four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88) and the 5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1992). The integrated courses are divided into the 6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1997), the 7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2008), the 8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2011), the 9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goals, contents, evaluation and guidance points of the curriculum by period. First, the subject name of high school changed from ‘Technology’ to ‘Technology․Home economics’. Second, in terms of quantitative aspect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is lowered. Third, in terms of qualitative aspect, we changed the method of constituting the content of technology education centered on core concept from the fact that the unit was set up based on the area of technology. Fourth,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changed from emphasizing technological ability related to job to emphasizing technological literacy as general education. Fifth, the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changed from knowledge transfer, traditional practice, result-based evaluation to activity-based instruction and performance-based and process-based evaluation of students.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