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BJECTIVESWe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food and nutrient intake in the Korean population over the past 20 year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METHODSWe conducted a survey of 116,284 subjects over the age of one year in Korea, who participated in the KNHANES between 1998 and 2018. We collected data on the subjects’ intake for the day before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annual percent change (APC) in the food groups and nutrient intake were calculated using SAS and Joinpoint software.RESULTSThe intake of grains (APC=-0.4, p<0.05) and vegetables (APC=-0.8, p<0.05) was observed to decrease. In contrast, the intake of beverages, meat, dairy, and eggs increased. In particular, beverage intake increased by more than four times (APC=9.2,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energy intake. However, the proportion of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s decreased by approximately 5%p (APC=-0.3, p<0.05), whereas that from fat increased by approximately 5%p (APC=1.1, p<0.05). Additionally, there were decreases in the proportion of energy intake from breakfast and homemade meals and increases in the energy intake from snacks, dining out, and convenience food. The intake of vitamin C (APC=-3.2, p<0.05) and sodium (APC=-2.3, p<0.05) significantly decreased.CONCLUSIONSOver the past 20 years, there has been decreases in the intake of grains, vegetables, carbohydrates, sodium, and vitamin C and increases in the intake of beverages, dairy, meat, eggs, and fat. Since nutritional statu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it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Highlights

  • INTRODUCTION질병부담 연구(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에서는 식생활 개선을 통해 5명 중 1명의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만성질환 예방에 바람직한 식품(견과류, 우유, 전곡류 등)의 섭취는 적정기준에 비해 적게 섭취하는 반면 나트륨, 가당음료, 가공육 등 섭취를 권고하지 않는 식품은 기준보다 많이 섭취하고 있어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및 질병부담의 감소를 위해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1]. 우리나라의 경우 영양요인이 총 사망 기여 위험요인 중 흡연, 고혈당에 이어 세 번째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트륨 과잉 섭취, 섬유소 및 통곡물 섭취 부족이 주요한 사망 기여 위험요인이었다 [2]

  • Title: 국민건강영양조사 20년(1998-2018):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추이 Trends in food and nutrient intake over 20 years: findings from the 1998-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지난 20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나트륨 섭취 감소를 제외하면 채소 및 과일 섭취가 감소하고 음료류와 지방 섭취가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는 드물었다. 식품 및 영양소 섭취는 만성질환 예방의 주요한 요인이므로 이러한 추이를 개선하기 위한 영양정책 개발과 적극적인 추진이 필요하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시의적 정책 개발을 지원하기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질병부담 연구(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에서는 식생활 개선을 통해 5명 중 1명의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만성질환 예방에 바람직한 식품(견과류, 우유, 전곡류 등)의 섭취는 적정기준에 비해 적게 섭취하는 반면 나트륨, 가당음료, 가공육 등 섭취를 권고하지 않는 식품은 기준보다 많이 섭취하고 있어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및 질병부담의 감소를 위해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1]. 우리나라의 경우 영양요인이 총 사망 기여 위험요인 중 흡연, 고혈당에 이어 세 번째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트륨 과잉 섭취, 섬유소 및 통곡물 섭취 부족이 주요한 사망 기여 위험요인이었다 [2]. 일부 선행연구[8, 9]에서 동물성 식품군과 지방 섭취 증가 등 우리 국민의 식생활 변화 추이 에 대해 보고하였지만 1998년 이전의 과거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로 최신의 식생활 추이 변화 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며, 최근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선행연구[10, 11]의 경우 에너지, 나트 륨 등 일부 영양소 위주로 결과를 제시하고 있어 전반적인 식생활의 변화를 파악하기에는 제한 적이다. 식품군 섭취량과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 외에도 식생활 변화 파악을 위해 식사 끼니별 에너지 섭취 분율과 가정식, 외식, 편이식품 등과 같은 식사 종류별 에너지 섭취 분율을 추가로 검토하였다. 식품군 및 a 영양소 섭취량(또는 분율)의 연간변화율(Annual Percent Change, APC)은 표준화된 평균과 표준오 b 차를 Joinpoint software에 적용하여 변곡점(joinpoint)을 0, 1개로 설정, 모형을 추정하여 산출하였다. 받았으며(2007-2014년, 2018년), 일부 연도(2015-2017년)에는 생명윤리법 제2조제1호 및 동 시행규칙 제2조제2항제1호에 따라 심의면제를 받았다

RESULTS
DISCUS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