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학습부진 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한 국내 중재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 연구들이 질적으로 우수하여 증거기반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52편의 연구가 선정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 중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효과를 검증한 실험연구 36편을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연구는 1994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중재유형 중 가장 많이 실시된 것은 집단상담이었으며 그다음으로는 학습기술 및 학습습관 향상 중재, 학습동기 촉진 전략과 진로 설정, ARCS모형, 문제중심학습과 협동학습 순이었다. 넷째, 중재 회기 수는 10회 이상 15회 미만의 연구가, 중재 시간은 30-60분 이내가, 중재 기간은 9주 이상 진행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질적 분석 측면을 살펴보면 분석 대상 논문은 실험집단에게 제공한 중재 내용 및 연구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충실히 제공하고 있었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평가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재충실도와 비교집단에게 제공한 중재가 무엇이었는지 밝히는 것은 다소 미흡하였다. 효과크기를 밝힌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습동기 중재연구에 관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of intervention trends conducted to improv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and to analyzed using quality indicators in order to identify that they are appropriate for evidence-based practice.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52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Among the 52 studies, 36 studies which set up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intervention studies to improv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1994. Second, the most studies were target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most interventions were group counseling, followed by improvement of learning skills and habits, and promotion of learning motivation, ARCS model,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Fourth, Intervention session of the most studies was 10~15 times, intervention lasted approximately 30 to 60 minutes, and the duration of intervention was conducted during 9 weeks or more.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good that most studies provided intervention content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detail and inform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lso instruments for measuring used in most studies were reliable and valid. Second, it was not good that most studies did not provide fidelity on intervention and intervention contents provided to the comparison group. Third, studies did not report effect siz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