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의과대학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학업 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의과대학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의과대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자기지향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 의과대학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학업지연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기지향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의과대학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의과대학생의 자기지향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사회부과완벽주의는 의과대학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과대학 스트레스는 학업지연행동과 정적 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과대학 스트레스는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부과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스로 완벽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의과대학생들은 학업 지연행동을 적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와 달리 사회적으로 부여되는 완벽주의 경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지연행동이 증가할 수 있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기지향완벽주의 경향이 있는 학생들도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얻을수록 학업지연행동을 더 적게 하게 되므로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정서적 지지와 격려가 중요하다.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