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5 factors(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of team personality on team learning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tween five factors of team personality and team learning behavior, the relationship of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performance. Data was collected by 227 individuals from 58 teams in 8 organizations and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from correlation analysis were that team extraversion, team agreeableness, and team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 and that team neuroticism was negatively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 Additionally, team openness was somewhat significantly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 Th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eam extraversion and team agreeabl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 but that team openness, team conscientiousness, and team neuroticism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agreeableness and team learning behavior. That is, in the low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agreeable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 whereas team agreeable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 in the high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team extraversion, team openness, team conscientiousness, and team neuroticism to team learning behavior. Finally, team learn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ighlights

  • 조직에 경제적 및 기술적 변화가 지속적으 로 요구되기 때문에 조직에서 작업 팀을 사용 하는 것은 보편적이게 되었다(Devine, Clayton, 급변하는 환 Philips, Dunford, & Melner, 1999). 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조직의 구조가 개인 기 반에서 팀 기반 구조로 바뀌게 되었고 팀을 기반으로 하는 업무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팀 학습 의 중요성 (Edmondson, 1999; Senge, 1990) 이 커지게 되었다(Edmondson, 1999; Kozlowski & Ilgen, 2006). 대부분 많은 팀들이 변화에 직 면하거나 불확실한 상황에 놓였을 때, 팀 구 성원들이 학습 행동에 관여하면서 그들이 처 해있는 환경과 고객을 이해하게 되고 팀 구 성원들의 활동들을 효과적으로 조정하게 된 다(Edmondson, 1999). 오늘날 팀은 생존하기 위해서 세계화(globalization), 기술적 혁신, 및 복잡성이 심화되는 변화에 적응하고(Gully &

  • 하지만, 팀 우호성이 높은 팀에서는 집단 사고의 경향이 나타나서인지 팀 학습의 낮은 수준이 나타났고 팀 리더의 강한 변혁적 리더십이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함 을 알 수 있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팀 성격 5요인(팀 외향성, 팀 개방성, 팀 성실성, 팀 우호성 및 팀 정서 불 안정성)과 팀 학습 행동의 관계, 팀 성격 5요인과 팀 학습 행동의 관계에서 팀 리더의 변혁 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및 팀 학습 행동과 팀 수행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 양한 업종의 개58 팀의 22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 였다. 분석 결과, 팀 외향성 및 팀 우호성은 팀 학습 행동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지만, 팀 개 방성, 팀 성실성 및 팀의 정서 불안정성은 팀 학습 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팀 우호성과 팀 학습 행동의 관계에서 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은 수준에서 팀 우호성과 팀 학습 행동은 부적 관련성이 있었고 변혁적 리더십이 낮은 수준에서 팀 우호성과 팀 학습 행동은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하지만, 팀 외향성, 팀 개방성, 팀 성실성 및 팀 정서 불안정성과 팀 학습 행동의 관계에서 팀 리더 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가 없었다. 팀 학습 행동은 팀 수행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둘째, 팀의 성격 5요인(외향성, 성실성, 개방성, 우호 성, 정서 불안정성)과 팀 학습 행동의 관계에 서 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 펴보고자 한다. 또한, 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팀 성격 과 팀 학습의 조절변인으로 팀 성격과 팀 학 습 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것이 다.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