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regulation stratrgies, emotional exhaustion, turnover inten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using data from 340 female home- study teacher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Service workers tends to perform surface or deep acting a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during interaction with their customers. Thus, surface and deep acting may affect differently on emotional exhaustion, turnover inten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exhaustion while deep acting was negatively related. Second, emotional exhaustion influenced positively on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on customer orientation. Third, emotional exhaus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t also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whi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and customer orientation.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examined.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 and peer group support showed opposite buffer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Highlights

  • 실되어 정서적 고갈을 더 많이 경험하고 (Grandey, 2000), 내면행위는 문제 중심 정서조 절을 통해 정서 불일치의 경험을 최소화하여 내적 자원을 유지.확대시킴으로써 정서적 고 갈을 일으키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시키는 결 과를 가져왔다. 또한 내면행위가 인카운터 유 형보다 관계 유형 서비스 상황에서 심리적 안 녕감과 더 정적 관계가 있는데(Hülsheger & Schewe, 2011), 유아나 어린이 고객과의 상호작 용이 지속적이고 서로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 는 관계 유형의 정서노동을 하는 학습지 교사 들은 진정성 있는 정서를 표현함으로써 정서 적 자원이 고갈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 첫째, 내면행위가 정서적 고갈을 감소시 키고 고객지향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나타 났는데, 표면행위보다 내면행위가 개인이나 조직 모두에게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는 것이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는 340명의 여성 방문형 학습지 교사를 대상으로 정서노동, 정서적 고갈, 이직의도 및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학습지 교사들은 고객과의 상 호작용 과정에서 정서조절 전략으로서 표면행위나 내면행위 등 서로 다른 정서노동 수행전 략을 선택하며, 표면행위 및 내면행위는 정서적 고갈, 이직의도 및 고객지향성과 다른 관계 를 가질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행위는 정서적 고갈과 정적 관계를, 내면행위는 정서적 고갈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정서적 고갈은 이직의도 에 정적으로, 고객지향성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표면행위와 이직의도 및 고객지향 성 간의 관계는 정서적 고갈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내면행위는 정서적 고갈을 통해 이직의도와 완전 매개되고 고객지향성과는 부분 매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 적 고갈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상사와 동료 지원의 조절효과는 예상과 달리, 정서 고갈 경험이 많을 경우에 상사 및 동료 지원이 높으면 오히려 이직의도를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개인의 심리적 안녕과 조직성과는 정서노동 수행전략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 정서적 고갈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 모두에 부정적 영향 을 미치기 때문에 조직은 종업원의 정서적 고갈을 관리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시사 점을 얻었다. 방문형 학습지 교사의 정서노동, 정서적 고갈, 이직의도 및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 주요어 : 표면행위, 내면행위, 정서노동, 정서적 고갈, 이직의도, 고객지향성 박춘신.장재윤 / 방문형 학습지 교사의 정서노동, 정서적 고갈, 이직의도 및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