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 and ‘learning’ based on the Kirkpatrick's training evaluation model, with an empha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ainee's difference variable(goal-orientation, openness to experience, extraversion). The survey data from a job training class of 212 employe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hree dimensions of reaction(enjoyment, usefulness, difficulty) predicted subjective learning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when trainees felt enjoyment or usefulness about their training program, effect of learning increased. However, learning was decreased as they felt difficulties in training program.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rainee's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mastery goal-orientation, performance goal-orientation, and extraversion had positive effect on learning while openness to experience had not any effect. Third, this result prov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f some trainee's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 and learning. Specifically, extraver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and learning positively. Goal-orientation did not moder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y and learning. Extraversion had neigher main effect nor moderating effect on learning. Finally,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Highlights

  • 본 연구는 212명의 관리자가 참여하고 있는 리더십교육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에서의 반응(즐 거움, 유용성, 어려움)과 주관적 학습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 미치는 개인차 변인 (수행목표지향성, 숙달목표지향성, 외향성, 개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훈련의 세 가지 반응차원이 주관적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즐거움 반응과 유 용성 반응은 주관적 학습을 높이는 반면, 어려움 반응은 주관적 학습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 났다. 주관적 학습에 대한 개인차 변인의 주효과 검증에서 개방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주 관적 학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반응과 학습의 관계에서 개인차 변인의 조절효과 가설검증결과는 즐거움 반응과 주관적 학습의 관계를 외향성이 정적으로 조절하며, 어려움 반응과 주관적 학습의 관계를 수행목표지향성이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숙달목표지향성과 개방성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반응과 학습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기존 연구결과들은 표 1과 같이 유용성 반응이 즐 거움 반응에 비해 학습과 유의한 정적상관관 계를 보여주는 편이었으나, 대부분의 반응과 학습의 상관관계에서 일관적이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어려움 반응을 포함한 두 편의 연구결과에서도 한 편의 연구에서만 반 응과 학습의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 이렇듯 학습과 반응의 관계에서 일관적 이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로 이들의 관 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피교육자의 개인차 변인을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 로 가정할 수 있는데, 의 Kirkpatrick 4가지 평가 준거(반응, 학습, 행동, 결과) 중 특히, 반응과 학습은 피교육자의 개인 수준에서 측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반응이 학습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피교육자의 개인차 변인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개방성을 두 하위차원 즉, 내부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외부경험에 대한 개방성으로 나누어 이들이 교육훈련 장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는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는 212명의 관리자가 참여하고 있는 리더십교육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에서의 반응(즐 거움, 유용성, 어려움)과 주관적 학습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 미치는 개인차 변인 (수행목표지향성, 숙달목표지향성, 외향성, 개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훈련의 세 가지 반응차원이 주관적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즐거움 반응과 유 용성 반응은 주관적 학습을 높이는 반면, 어려움 반응은 주관적 학습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 났다. 주관적 학습에 대한 개인차 변인의 주효과 검증에서 개방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주 관적 학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반응과 학습의 관계에서 개인차 변인의 조절효과 가설검증결과는 즐거움 반응과 주관적 학습의 관계를 외향성이 정적으로 조절하며, 어려움 반응과 주관적 학습의 관계를 수행목표지향성이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숙달목표지향성과 개방성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212명의 관리자가 참여하고 있는 리더십교육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에서의 반응(즐 거움, 유용성, 어려움)과 주관적 학습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 미치는 개인차 변인 (수행목표지향성, 숙달목표지향성, 외향성, 개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주관적 학습에 대한 개인차 변인의 주효과 검증에서 개방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주 관적 학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대한 즐거움 반응이 높을 수록, 주관적 학습이 높게 나타날 것이다.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