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부 애착과 자아존중감, 아동의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동의 부 애착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공격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부 애착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P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420명을 표집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하고 39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부 애착과 자아존중감은 정적상관, 부애착과 공격성,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서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부 애착이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등의 사회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아동의 공격성을 탐색함으로써 그 해결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ren s attachment to their father and self-esteem and aggressiveness. To this end, th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 s attachment and the other two factors were investigat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in the relation of attachment and aggression was also examin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420 sixth 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P city, and the data from 393 students were analyzed,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s attachment to fathers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but aggressiveness shows negative correlations with both attachment and self-esteem. Second, self-esteem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path of children’s attachment to aggress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on seeking solutions to reduce social problems like school-violence by investigating children s aggressiveness.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