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ty embeddedness, which is one of the subfactor of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and work engag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mmunity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and work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work enrichment in these relationships. Self-reported survey data were obtained from 276 employees from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community embeddedness and family-work enrichment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nd positively related with work engagement. And community embedded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family-work enrichmen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embeddedness and work engagement were partially mediated by family-work enrichment.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Highlights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직무 배태성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지역사회 배태성이 이직의도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가정-일 충실이 이직의도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 향을 검증하고 셋째, 지역사회 배태성과 이직의도, 지역사회 배태성과 직무열의 간 관계를 가정-일 충실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다양한 직종에 근무하는 27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배태성은 이 직의도와 부적 관계, 직무열의와 정적 관계를 보였다. 가정-일 충실은 이직의도와 부적 관계, 직무열의와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정-일 충실은 지역사회 배태성과 이직의도, 지 역사회 배태성과 직무열의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학문적 의의,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기업은 모집, 선발, 배치, 교육에 많은 비용 을 투자하기 때문에 고용주는 조직에서 지속 적으로 일할 수 있는 근로자들을 원한다. 그 래서 근로자의 이직은 오래전부터 산업 및 조 직심리학 연구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Hom & Griffeth, 1995). 많은 연구자들이 이직 을 예측하기 위해 직무태도나 직무에 대한 대 안같은 변인들이 중요하다고 논의해왔으나, 개 인이 직무에 만족하고 바람직한 직무대안이 없더라도 이직을 촉발하는 사건들이 발생했을 때 이직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했 다(Mitchell, Holtom, Lee, Sablynski, & Erez, 2001). 이를 설명하기 위해 이직을 유발하는 사건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구성원들이 조직에 계속 머무르도록 만드는 요인으로 직무 배태성(job embeddedness)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Mitchell & Lee, 2001). 과거의 작업동기 연구들은 근로자들의 삶

  • 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조직에서의 역할이고 조직 내에서의 동기는 조직 밖에서의 동기와 독립적인 과정을 거친다고 보았기 때문에 조 직생활에 미치는 업무 외적 요인의 영향력에 대해서 관심을 갖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Kossek & Misra, 2008). 이러한 경향은 직무 배태성 연구에서도 나타났다. 직무배태성의 하위 차원 중 업무 관련 변인 인 조직 배태성(organizational embeddedness)이 많이 다뤄진 반면, 또 다른 하위 차원으로 업무 외적 변인인 지역사회 배태성(community embeddedness)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Harman, Blum, Stefani, & Taho, 2009). 업무 관련 변인과 업무 외적인 변인 간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직장에서 경험한 것들이 개인의 가정생활이나 여가생활에 영향을 줄 수도 있고, 반대로 업 무 외적인 삶의 영역에서 경험한 것들이 직장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직무 배태성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지역사회 배태성이 이직의도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가정-일 충실이 이직의도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 향을 검증하고 셋째, 지역사회 배태성과 이직의도, 지역사회 배태성과 직무열의 간 관계를 가정-일 충실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다양한 직종에 근무하는 27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배태성은 이 직의도와 부적 관계, 직무열의와 정적 관계를 보였다. 가정-일 충실은 이직의도와 부적 관계, 직무열의와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정-일 충실은 지역사회 배태성과 이직의도, 지 역사회 배태성과 직무열의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학문적 의의,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가정-일 충실은 지역사회 배태성과 이직의도, 지 역사회 배태성과 직무열의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에 초점을 두고 자기가치 확인이론(Steele, 1988), 자원보존이론(Hobfoll, 1989, 2001), 일-가정 충 실이론(Greenhaus & Powell, 2006)을 바탕으로 업무 외적 변인인 지역사회 배태성이 가정과 직장에서의 요구를 충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원으로 기능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지역사 회 배태성이 개인의 가치와 욕구를 충족시키 는 정도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자기가치 확인이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배태 성과 이직의도 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 가 있다.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