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OK Army junior leader’s relationship conflict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NE) on defensive silence and to specificall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defensive silence. The second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self-esteem (C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NE and defensive silenc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SE on the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FNE. A total of 202 ROK Army junior lead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d we measured relationship conflict, FNE, defensive silence, and CSE. Using IBM SPSS 21.0 program,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relationship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FNE and FNE was positively related to defensive silence. FN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defensive silence.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C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NE and defensive silence wa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NE and defensive silence was stronger when CSE was low than high. Additio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CSE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F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defensive silence. Lastly, th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Highlights

  • 최근 국가인권위원회는 윤일병 사망사건이 발생한 부대의 장병들이 피해자에 대한 가해 자의 구타 및 가혹행위를 직간접적으로 알고 도 묵인했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특히 전체 면담인원 83명 중 37%에 해당하는 31명 이 윤일병의 상황을 알고도 침묵하였다고 조 사되었는데, 해당 장병들은 침묵 이유에 대해 구타 및 가혹행위 등의 병영부조리를 신고할 경우 신고자에 대한 비밀보장이 제대로 이루 어지지 않아 동료 전우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는 등의 불이익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 이라고 응답하였다(국가인권위원회 보도자료, 2016. 1. 25; 한국일보, 2016, 1. 25). 이와 같 이 개인이 조직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침묵하는 것을 조직심리학자들은 조직침묵 또는 종업원 침묵(employee silence)으로 정의를 내렸고(Morrison & Milliken, 2000; Van Dyne, Ang, & Botero, 2003), 관련 된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박현선, 정현선, 박동건, 2015; Madrid, Patterson, & Leiva, 2015)

  •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집단자존감이 심 리적 디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등과 부적 관 계를 가진다는 선행연구 결과들에 주목하여 초급간부의 관계갈등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거쳐 방어적 침묵에 영향을 주는 경 로를 집단자존감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 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관계갈등을 겪는 초급간부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이 높고, 이는 방어적 침묵으로 이어질 것이 지만, 이 때 집단자존감이 부정적 평가에 대 한 두려움의 간접효과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설 5를 아래와 같 이 세웠다. 이상에서 논의된 연구모형을 정리 하여 그림 1에 제시하였다

  • 추가적으로 관계갈등과 방어적 침묵 사이에서 부정적 평 가에 대한 두려움이 가지는 간접효과를 집단 자존감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집단자존감이 낮을수 록 관계갈등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거쳐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 되었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최근 국가인권위원회는 윤일병 사망사건이 발생한 부대의 장병들이 피해자에 대한 가해 자의 구타 및 가혹행위를 직간접적으로 알고 도 묵인했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특히 전체 면담인원 83명 중 37%에 해당하는 31명 이 윤일병의 상황을 알고도 침묵하였다고 조 사되었는데, 해당 장병들은 침묵 이유에 대해 구타 및 가혹행위 등의 병영부조리를 신고할 경우 신고자에 대한 비밀보장이 제대로 이루 어지지 않아 동료 전우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는 등의 불이익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 이라고 응답하였다(국가인권위원회 보도자료, 2016. 1. 25; 한국일보, 2016, 1. 25). 이와 같 이 개인이 조직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침묵하는 것을 조직심리학자들은 조직침묵 (organizational silence) 또는 종업원 침묵(employee silence)으로 정의를 내렸고(Morrison & Milliken, 2000; Van Dyne, Ang, & Botero, 2003), 관련 된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박현선, 정현선, 박동건, 2015; Madrid, Patterson, & Leiva, 2015). 임정인.손영우 / 육군 초급간부의 관계갈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 집단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따라서 초급간부들 의 관계갈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지금까지 언급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연 구에서는 먼저 육군 초급간부의 관계갈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