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m composition on team performance. A total of 67 student teams participated in their team-based task for more than 10 weeks and a team is an unit of analysis. The composition variables included demographic diversity (gender and college starting year), cognitive diversity, and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m performance between three groups (low-, medium-, and high-diversity) varying with demographic (gender and college starting year) and cognitive diversity, one-way ANOVAs and post-hoc analyses were used. Findings regarding gender diversity revealed that team performance was greater for medium- and low-diversity groups than for high-diversity group. While findings regarding college starting year revealed that team performance was greater for low- and high-diversity groups than for medium-diversity group, findings regarding cognitive diversity measured by diversity of attending colleges revealed that team performance was greater for medium-diversity group than for high-diversity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will be an optimal level of diversity for enhancing team performance. The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s team composition variables and team outcomes. Team extrovers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creative part and team presentation. However, the minimum of team agreeableness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logical part of team performance, which was the opposite of our hypothesis. We discussed that the personality factors for team composition could vary with task characteristics.

Highlights

  • 본 연구는 팀의 구성이 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한 학기 동안 팀 과 제를 위해 구성된 개67 대학생 팀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의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팀의 인구통계학적 다양성 및 인지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구통 계학적 다양성에 성별과 학번에서의 다양성을 포함시켰고, 인지다양성은 팀 구성원의 전공 이 속한 단과대학의 다양성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서는 다양성이 높은 집단보다 는 중간 이하일 때 팀 수행 점수가 양호하였으나, 학번의 경우 다양성이 낮은 집단 또는 높 은 집단의 팀 점수가 중간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과대학 다양성은 높은 수준 보다 중간 수준일 때 팀 과제 점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팀의 다양성과 성과간 의 관계가 선형적 관계가 아닐 수 있으며 적정한 수준의 다양성 범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팀 구성요인으로서 성격 특성이 팀 성과와 정적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팀의 외향성은 과제의 독창성 항목 및 프리젠테이션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 가 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반면 우호성의 최소값이 과제의 연구논리 항목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 가설과 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하여 팀의 구성요인으로서 요구되는 성격 특성이 과업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첫째, 팀의 인구통계학적 다양성 및 인지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앞서 언급 하였듯이, 사회적 범주화 관점과 유사성-매력 관점을 지지하는 연구자들은 높은 다양성을 지닌 팀은 팀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덜 긍정적 인 태도를 가질 것이고 이는 팀 구성원들 간 의 갈등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는 팀의 구성이 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한 학기 동안 팀 과 제를 위해 구성된 개67 대학생 팀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의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팀의 인구통계학적 다양성 및 인지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구통 계학적 다양성에 성별과 학번에서의 다양성을 포함시켰고, 인지다양성은 팀 구성원의 전공 이 속한 단과대학의 다양성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서는 다양성이 높은 집단보다 는 중간 이하일 때 팀 수행 점수가 양호하였으나, 학번의 경우 다양성이 낮은 집단 또는 높 은 집단의 팀 점수가 중간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과대학 다양성은 높은 수준 보다 중간 수준일 때 팀 과제 점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팀의 다양성과 성과간 의 관계가 선형적 관계가 아닐 수 있으며 적정한 수준의 다양성 범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팀 구성요인으로서 성격 특성이 팀 성과와 정적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팀의 외향성은 과제의 독창성 항목 및 프리젠테이션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 가 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반면 우호성의 최소값이 과제의 연구논리 항목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 가설과 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하여 팀의 구성요인으로서 요구되는 성격 특성이 과업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첫째, 팀의 인구통계학적 다양성 및 인지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